경기지역 시ㆍ군 간 상하수도 요금의 차이가 크게는 3배가량 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경기도에 따르면 20㎥ 사용 기준 하수도 요금은 도내 평균 7천969원으로 집계됐다. 가장 싼 곳은 여주시로 3천100원이었으며, 가장 비싼 남양주시는 1만1천60원으로 여주보다 2.8배나 높았다. 이어 상수도 요금의 도내 평균이 1만1천295원인 가운데 가장 싼 성남시(5천950원)보다 가장 비싼 이천시(1만8천400원)의 물값이 2.1배 차이가 났다.
이처럼 상ㆍ하수도 요금이 지자체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인구 밀집도와 도시화 여부 등 지역 특성에 따라 상ㆍ하수도 관련 시설 등을 설치 및 운영하는 데 드는 비용 격차가 있기 때문이다. 또 상수도의 경우 광역상수도를 사용하는지, 지방상수도를 사용하는지 등에 따라서도 이용 요금이 큰 차이를 보인다. 이밖에 도는 지자체장들이 상ㆍ하수도 요금 현실화에 대한 의지와 정책에 차이를 보이는 것도 지역별 요금 격차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한편 종량제 쓰레기봉투(20ℓ 기준) 가격도 지역별로 큰 차이를 보였다. 가평균과 하남시가 400원, 안성시가 440원이다. 또 파주시는 800원, 남양주시는 740원, 고양시는 710원으로 확인됐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