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어떤 존재인가’에 답한다… ‘유물론’

▲ 유물론

영국 대표 마르크스주의 문화 비평가 테리 이글턴 교수가 ‘우리는 어떤 존재인가’에 대한 답을 한다.

 

책 <유물론>(갈마바람刊)의 저자 테리 이글턴은 인간의 ‘몸’에 주목하는 사상은 모두 유물론으로 간주한다. 심지어 기독교인 중세 철학자 토마스 아퀴나스도 몸의 부활을 믿는다는 점에서 유물론자로 분류한다. 저자는 이른바 ‘신체적 유물론’을 제시한다. 그는 “신체적 유물론은 인간과 관련해서 가장 확실하게 손에 잡히는 것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는 태도이며, 그 확실히 손에 잡히는 것은 인간의 동물성, 실천적 활동, 신체 구조”라고 말한다. 요악컨대 저자가 주목하는 것은 인간의 몸이다. 그는 인간의 몸을 철학적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입장을 신체적 유물론이라고 부른다.

 

그는 유물론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관념론뿐만 아니라 ‘신유물론’을 제시한다. 신유물론은 생명이라는 신비로운 용어에 취해 인간을 망각하는 경향이 있다고 비판하면서 “인간이 고슴도치보다 창조적이라는 사실을 부정하면 인간이 고슴도치보다 더 파괴적이라는 것도 무시할 위험이 있다”고 강조한다.

 

테리 이글턴의 신체적 유물론이 들려주는 메시지는 결국 ‘우리는 분열적인 존재다’라는 것이다. 그는 우리의 분열성을 시간성, 창조성, 개방성, 초월성 등과 연결한다. 그는 “우리가 우리 자신과 불화하는 것은 몸과 영혼이 서로 불화하기 때문이 아니라 우리가 시간적이고 창조적이며 개방된 동물이기 때문이다”고 정리한다.

 

저자 테리 이글턴은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칼리지에서 문학학사학위를, 같은 대학 지저스 칼리지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그는 20세기 영국의 대표적인 문화 비평가이자 좌파 활동가인 레이먼드 윌리엄스 교수의 제자였다. 옥스퍼드 대학 영문학 연구 교수와 맨체스터 대학 영문학 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랭카스터 대학의 영문학 교수로 있다. 서구의 다양한 정신사조를 비판적으로 탐색하며 독자적인 마르크스주의 문학이론을 펼쳐나간 그는 19~20세기 영미문학을 살피고 그 배후에 숨겨진 이데올로기를 밝혀내는데 주력하고 있다. 값 1만4천원

 

허정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