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정상회담] 이제는 북미 관계…트럼프 설득 관건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9월 평양공동선언에서 4·27판문점선언 보다 진일보한 비핵화 합의를 이뤄내면서 북미간 비핵화 협상 재개를 이끌 발판이 마련될지 주목된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19일 평양 백화원 영빈관에서 ‘9월 평양공동선언’에 서명하고 ‘핵무기·핵위협이 없는 평화로운 한반도를 만들겠다’고 선언했다.

 

비핵화 관련 평양공동선언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를 유관국 전문가들의 참관 하에 우선 영구적 폐기와 미국이 6·12 북미공동성명의 정신에 따라 상응조치를 취하면 영변 핵시설의 영구적 폐기와 같은 추가적인 조치를 계속 취할 용의가 있다는 것 등이다.

 

문 대통령은 비핵화 문제와 북미관계, 그것에 정상화와 관련해 역지사지의 자세를 강조했고 김 위원장도 모두가 기대하는 좋은 성과를 내보자라고 말한 만큼 이번에 김 위원장으로부터 통 큰 결단을 얻어낸다면 북미간 입장 차이를 좁히는데 큰 진전을 이룰 수 있다.

 

■북미 비핵화 협상 진전 이끌지 ‘최우선 과제’

북한이 이번에 확실하게 약속한 것은 동창리 엔진시험장과 미사일 발사대의 영구 폐기다. ‘북핵의 상징’인 영변 핵시설의 폐기는 미국이 상응조치를 취할 때 이뤄질 수 있다. 여기에는 비핵화 초기조치인 핵 신고 등이 포함되지 않아 2차 북미정상회담을 이끌 동력이 될지 관심이다.

 

하지만 평양공동선언에 남북 정상이 논의한 내용이 모두 공개되지는 않아 트럼프 대통령을 설득할 비공개 메시지가 북미대화 촉진의 열쇠가 될 전망이다. 또 이번에 비핵화의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시키지 않은 것은 실질적인 비핵화의 공을 미국에 넘기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9월 평양공동선언’기자회견 직후 취재진을 만나 “공동선언 내용 이외에도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이러한 논의의 결과를 토대로 내주 초 뉴욕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미 비핵화 협상도 좀 더 속도를 낼 방안에 대해 양 정상간 심도 있는 논의가 있었다”라며 “북미협상에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실제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은 이날 백화원 영빈관에서 가진 단독 추가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등 다양한 논의를 진행했다.

 

■한미정상회담서 트럼프 설득이 관건

그동안 미국은 ‘선 비핵화 후 종전선언’, 북한은 ‘선 종전선언 후 비핵화’를 고집해 북미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져 있었다. 또 미국은 비핵화 조치 전에 남북경협이나 대북제재 완화는 없다고 제동을 걸어왔다.

 

하지만 이번에 김정은 위원장이 연내 서울을 방문하고, 개성공단·금강산관광 등 경협도 재개하기로 합의한 것은 향후 북미간 비핵화 협상에도 자신감을 드러낸 것으로 관측된다.

 

이처럼 문 대통령이 비핵화의 중재자이자 촉진자 역할을 맡아 남북, 북미 관계 발전의 선순환을 이끌 전망이다. 9월 24일 뉴욕 한·미 정상회담 및 서울 남북정상회담, 제2차 북미정상회담 등이 줄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서울ㆍ평양공동취재단=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