휘청이는 제조업…생산능력 급속도로 떨어지고 젊은 인력 사라지고

제조업의 생산능력이 다섯 달 연속으로 최대 감소 폭을 경신하며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

 

26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7월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2.6으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1.3% 감소했다. 이는 관련 통계 집계가 시작된 1971년 이후 가장 큰 폭의 내림세다.

 

생산능력지수는 인력·설비·조업시간 등이 정상적으로 생산에 투입되는 상황에서 달성할 수 있는 최대 생산가능량을 나타낸 것으로 2015년을 100으로 놓고 비교한다.

 

전년 대비 생산능력지수는 지난 3월부터 매달 감소 폭 기록을 새로 쓰고 있다. 지난 3월 지수는 102.9로 1년 전보다 0.6% 감소해 기존 기록인 작년 12월 -0.5%를 깼다. 이후 4월 -1.0%, 5월 -1.0%, 6월 -1.1%, 7월 -1.3%다.

 

전월과 비교해도 감소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올해 1월 지수는 103.2로 전월보다 0.9% 감소했다. 올해 생산능력지수가 전월보다 증가했던 때는 2월(0.1%)과 5월(0.2%)뿐이었다.

 

세부 산업별로는 대규모 구조조정이 있었던 조선·해운이 속한 기타 운송장비와 자동차가 속한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감소가 계속되고 있다.

 

산업현장의 고령화 역시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됐다. 통계청의 경제활동 인구조사 부과조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 지난 5월 기준으로 제조업 취업자 중 55∼79세는 전체 취업자의 19.2%를 기록했다. 5년 전인 2013년 5월과 비교하면 6.5%포인트 증가했다. 같은 기간 전체 취업자 중 고령자의 비율이 4.9%포인트 증가한 점을 고려하면 제조업은 고령화가 더 빨리 진행되고 있는 셈이다.

 

정부가 최근 추진 중인 중장기 산업구조 개편 작업에 제조업 경쟁력 강화를 주요 과제로 삼았다는 점은 이런 위기의식이 반영됐다고 볼 수 있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최근 외신 인터뷰에서 “제조업 경쟁력과 고용 창출력이 떨어지는 상황에서 반도체 등이 우리 경제를 (계속) 견인할 수 있을지 고찰이 필요하다”며 “어떻게 산업구조를 바꿔야 할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한 바 있다.

 

구예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