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10년 사이 사라진 경기도 내 농지면적이 수원시 전체 면적의 2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경기도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도내 전체 농지면적은 16만 5천707㏊(논 8만 8천733㏊, 밭 7만 6천974㏊)이다.
이는 10년 전인 2007년 말 기준 농지면적 19만 508㏊(논 10만 8천334㏊, 밭 8만 2천174㏊)에 비해 13.0%인 2만 4천801㏊가 줄어든 것이다. 특히 논 면적이 18.1%(1만 9천601㏊) 더 감소했다.
이처럼 10년 새 감소한 도내 농지면적은 수원시 전체 면적 1만 2천110㏊(121.1㎢)의 2배가 넘는다.
농지 보호를 위해 지정한 농업진흥지역(농업진흥구역 및 농업보호구역) 면적도 같은 기간 12만 8천933㏊에서 9만 9천435㏊로 무려 22.9%(2만 9천498㏊)나 더 줄어들었다.
올해 들어 도는 지난 2월 145㏊의 농업진흥구역과 38㏊의 농업보호구역을 해제하고, 607㏊의 농업진흥구역을 농업보호구역으로 변경한 바 있다. 앞서 도는 지난 2016년 1만4천883㏊, 지난해 987㏊의 농업진흥지역을 해제 또는 변경했다.
농업진흥지역은 농지의 효율적 이용과 보존을 위해 시·도지사가 지정하며, 이 중 농업진흥구역에서 해제된 지역에는 ▲3만㎡ 이하의 공장·물류창고 ▲1만㎡ 이하의 교육연구시설·의료시설 ▲1천㎡ 이하의 소매점 및 사무실 등 근린생활시설 등이 들어설 수 있다. 또 농업진흥구역에서 농업보호구역으로 전환되면 다양한 토지이용과 건축 등 개발행위가 가능해진다.
도 관계자는 “도로 건설과 택지 및 산업단지 조성 등 각종 개발사업으로 도내 농지가 갈수록 줄고 있다”며 “하지만, 식량 안보 차원에서라도 우량농지 등을 중심으로 농지의 무분별한 전용을 최대한 막아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