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KB·아마존과 전자 금융사기 방지 AI 알고리즘 개발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를 위해 업무협약 체결

▲ 금감원현판
▲ 사진/경기일보 DB

[서울=경기일보/백상일 기자] 금융감독원이 ‘빅데이터와 인공지능(BDAI, BigData와 Artificial Intelligence)’을 활용해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에 나선다.

 

금감원은 27일 아마존웹서비스 및 KB국민은행과 전자 금융사기 방지 AI 알고리즘 개발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에 따르면 최근 전자 금융사기는 금융기관 사칭 대출 안내 등 금융소비자를 현혹하는 문자(text)에서 비롯되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지난 3월부터 공익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금융회사, IT기업 등과 문자 등 다양한 방식의 전자 금융사기를 방지하기 위해 협업팀을 구성·운영해 왔다.

 

협약에 따라 각 기관은 전자 금융사기 방지를 위한 AI 알고리즘 개발을 위해 긴밀한 업무 협력체계를 구축한다. 또 전자 금융사기 방지를 위한 각종 데이터의 제공과 활용 등에 협력하고 최신 기술과 트렌드 정보 공유, 전자 금융사기 방지 알고리즘 개발 관련 사업을 상호 지원하게 된다.

 

금감원은 “AI가 휴대폰 문자 정보를 분석하고 사기 여부를 사전에 판단하여 금융 소비자 피해를 원천 차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아울러, 스타트업 기업 등에 알고리즘을 무상 제공하여 휴대폰 앱 등을 자체 개발하고 상업화할 수 있게 함으로써 새로운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또한 “해외에 알고리즘을 공개함으로써 전자 금융사기 방지 관련 이슈를 금감원이 주도하고 해외 감독당국 등의 참여를 유도하는 등 국제적으로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다.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