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인천스마트시티㈜ 공적기능 강화 추진

인천시가 인천 스마트시티㈜의 공적기능 강화를 추진한다.

 

27일 시에 따르면 19일 인천시 스마트 도시 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완료 보고회를 하고 인천 스마트시티㈜의 공익성을 높일 방안을 구상 중이다. 인천 스마트시티㈜의 스마트 도시 인프라 구축, 기존 시설 관리, 원도심 스마트 도시 사업 등 공적 기능을 높인다는 것이다.

 

이는 인천 스마트시티㈜가 공공부문 투자를 위해 인천시가 100% 출자한 주식회사인 만큼 수익창출보다는 공익적 목적을 우선해야 한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이를 위해 시는 인천 스마트시티㈜에 재정을 지원하는 방안과 조직을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이는 당분간 다양한 형태로 회사 운영비를 보조해 스마트시티㈜가 수익창출보다 공익추구라는 핵심 역할에 집중 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스마트시티㈜는 2015년부터 수의계약이 금지돼 법인 운영이 위축됨에 따라 수익창출에 집중해 왔던 것으로 알려졌다.

 

조직 확대와 관련해서는 기존 연구소 포함 3본부 체제를 5본부 체제로 확대 개편하는 방안이 논의 중이다. 5본부는 경영지원본부, 기획본부/연구소, 영업본부, 기술본부, 운영본부로 구성될 전망이다.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의 전문 역량을 확보한다는 입장이다.

 

시는 위 내용을 토대로 관련 부서와의 협의를 진행할 계획이다. 재정지원과 조직개편은 부서마다 입장이 달라 긴밀한 협의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시 관계자는 “스마트 도시 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보고회에서 나온 인천 스마트시티㈜의 공적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에 대해 상당 부분 공감하고 있다”며 “내년에 스마트 도시 사업 관련 기본계획을 수립할 때 관련 내용이 반영하기 위해선 담당 부서와 협의를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