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10명 중 6명, 정부의 일자리정책 실효성 못 느껴”

경제개혁연구소 “지난 1월 조사보다 부정 응답자 늘어”

▲ 자료/경제개혁연구소
▲ 자료/경제개혁연구소

성인 10명 중 약 6명은 정부 일자리정책의 실효성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경제개혁연구소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7∼30일 전국 성인 1천 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정부 정책이 일자리 수를 늘리는 데에 실효성이 있느냐는 질문에 60.4%의 응답자가 ‘그렇지 않다’고 답했다.

 

이는 올해 1월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와 비교하면 ‘실효성이 없다’는 응답률이 2.9%P 상승한 것으로 부정 응답자가 늘어난 모양새다.

 

이번 설문에서는 정부 정책이 고용 안정이나 차별 해소 등 일자리 질 제고에 효과가 있다고 평가하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도 ‘없다’는 응답자가 58.3%에 달했다. ‘(효과가) 있다’는 응답자는 37.2%에 머물렀다.

 

또 현 정부의 기업 정책이 중소기업보다는 대기업 중심이라는 응답자들은 판단했다. ‘대기업 중심’이 47.3% ‘중소기업 중심’은 31.5%였다.

 

경제개혁연구소는 “일자리 정책에 대한 평가가 전반적으로 나빠졌고 특히 20∼40대 남성과 60대 이상 여성, 자영업·사업 직업층 등에서 부정적 여론이 많이 증가했다”고 분석했다.

 

한편, 이번 설문 조사는 95% 신뢰 수준에서 표본오차가 ±3.09%P다.

 

서울=백상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