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 김명연, 치매안심센터 종사자 ‘10명 중 7명 고용불안’

▲ 프로필 사진(김명연)

현 정부가 중점 공약사항으로 내건 치매안심센터의 종사자들 대부분이 무기계약직 이거나 기간제 근로자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자유한국당 김명연 의원(안산 단원갑)이 2일 전국 256개소의 치매안심센터 종사자 현황을 살펴본 결과 개소당 평균 근무 인원은 10명 내외로 당초 정부가 계획했던 평균 25명에 4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이마저도 71.3%는 고용이 불안정한 무기·기간제·비상근 근로자와 시간선택제임기제 공무원으로 채워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 같이 치매안심세터가 종사자마저 구성하지 못한 채 부실하게 운영하는 것은 정확한 추계와 조사 없이 정부가 무리하게 추진한 결과라는 것이 김 의원의 지적이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직후 전국 256개 시군구에 치매안심센터 건립예산과 인력채용 예산 등에 각각 1천233억 7천200만 원과 1천35억 원을 편성했다.

 

당시 야당에서는 대규모 사업의 무리한 추진에 따른 부작용 특히, 6천명이 넘는 대규모 간호사 등 전문 인력의 일괄 채용이 불가능하다며 단계별 추진할 것을 주문했으나 보건복지부는 정상적으로 추진할 수 있다며 치매안심센터 사업을 강행했다.

 

하지만 약 1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정식 개소된 치매안심센터는 58개소에 불과하다.

 

특히 올해 6월말 현재 치매안심센터 종사자 2천517명 중 무기계약직·기간제 근로자가 52.7%에 달하며, 고용이 안정적이지 못한 시간선택제임기제 공무원(16.8%)과 비상근직(1.8%)을 합하면 71.3%에 달한다.

 

경기도 역시 치매안심센터 종사자 510명 중 일반공무원은 125명(24.5%)에 불과하고 무기계약직·기간제 근로자 231명(45.3%)과 시간선택제임기제 공무원 146명(28.6%)을 합하면 377명(73.9%)로 집계됐다. 기타는 8명(1.6%).

 

김 의원은 “지난해 국감과 예산심사 당시 치매안심센터가 졸속으로 추진되고 있다는 것을 지적하며 단계별 추진을 주문했으나 정부와 여당이 무리하게 예산을 편성했다”며 “정부의 계획만 믿고 기대했던 치매 가족들만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김재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