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 조직개편을 앞두고 있는 경기도교육청에 대해 “교육청의 기능을 사업집행이 아니라 주요 정책 개발과 연구를 위한 것으로 재편하는 동시에 슬림화할 필요가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경기도교육연구원은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연구보고서 ‘경기도교육청 정책 협업 추진 방향과 실천 전략’을 최근 발표했다.
3일 교육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09년부터 현재까지 남부ㆍ북부청사의 조직개편은 총 10차례로 거의 1년에 1번 정도 크고 작은 변화가 있어 왔다. 이 가운데 5차례 정도가 조직에 다소 큰 영향을 미치는 개편이 단행됐다. 현재 교육청은 5실·국(교육1·2국, 행정국·안전지원국·기획조정실) 산하에 30개 과를 두고 운영 중이다.
그동안 조직개편은 필요한 교육 과제 등을 수행하기 위해 이뤄졌지만, 그 결과 교육청 조직이 비대해졌다고 교육연구원은 지적했다. 책임 소재 탓에 부서들이 협업에 소극적으로 나서는 등 부서 간 칸막이 문화도 만연해졌다.
교육연구원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청을 슬림화해야 하는 동시에 학교 입장에서 교육청 조직 구조를 재설계하고 구성원들이 협력적으로 일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교육청의 기본 조직(국)을 ▲교육과정 ▲사람 ▲시설·환경 ▲대외협력을 중심으로 재조직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예를 들면 민주시민교육과, 문예교육과, 특성화교육과, 진로지원과가 교육과정으로 모을 수 있고, 교원정책과와 학생안전과, 위기학생지원단 등은 사람과 관련된 것으로 모을 수 있다. 또 시설과와 재난예방과, 안전관리과, 적정규모학교육성추진단은 시설·환경으로, 혁신교육지구담당과 마을교육공동체는 대변인실, 대외협력담당관과 대외협력으로 묶일 수 있다.
이 같은 방식으로 업무를 조정한 다음 이들 업무의 비중을 고려해 과나 팀 단위로 배치하되, 가급적이면 유연한 팀제로 배치하고 사안에 따라 신설과 해체가 용이하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또 연계 가능성이 높은 조직 간에는 물리적 거리를 최소화해 배치할 필요가 있으며 업무 공간 안에 칸막이를 없애 상시 대화와 토론이 가능하도록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정리했다.
한편 경기도교육감직 인수위는 백서에서 2022년 광교신청사 시대에 대비하기 위해 2019년에 부분적으로 조직개편을 하겠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강현숙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