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종교] 새로워지는 대한민국을 기대한다

▲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는 아주 신비하고 경이로운 모습을 가지고 있다. 세계 많은 곳을 가 보아도 이렇게 아기 자기하게 아름다운 나라가 있을 수 있나? 라는 생각이 든다. 이제는 지구촌 어느 나라를 가도 한국의 주요 브랜드 회사들이 유명하게 자리를 잡았고 한국 젊은이 들의 한류열풍과 세계를 들썩이는 K-POP 열풍이 젊은이 들을 춤추게 하고 있다. 다른 나라에서 만나는 사람들마다 한국인이라고 소개를 하면 엄지 척을 보인다.

 

전 세계의 수 많은 유명 예언가들이 한반도의 21세기 미래를 세계의 최고 나라가 될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 지난날의 우리나라 발전 상황을 돌이켜 보면 그 예언들이 그대로 이루어 질듯보이기도 하다. 요즘의 한반도에 흐르는 정세를 보더라도 정말 남북 통일이 곧 될 것 같은 기대의 분위기들이 피어오르고 있다. 한 나라가 선진국가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경제적인 부분이 가장 중요하지만 그러나 그것 보다 더 중요한 것은 국민들의 문화의식 수준일 것이다.

 

한 개인이 살을 빼기 위해 다이어트(diet)를 잘 하려면 우선적으로 무엇을 안 먹어야 하는지를 결정하기 보다 먼저 삶의 시간표를 조절해야 한다. 야식을 피하기 위해서는 밤에 일찍 잠자리에 들고 과식을 피해야 하듯이 다이어트에 성공하려면 삶의 바른 목적을 가지고 바른 생활방식을 먼저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인에게도 이 계획이 중요하듯이 한 나라가 선진국가로서 다른 나라에 존경을 받기 위해서는 우선 국민들의 국민적 수준이 높아져야 한다.

 

우리 나라가 선진국의 반열에 오르기 위해서 우선 모든 국민마음속에 ‘비움’의 마음이 시작되어야 한다. 개인의 새로운 삶의 시작이 비움으로부터 시작되듯이 한 나라의 새로운 시작도 비움으로 시작된다. 그렇다면 한 나라의 비움은 무엇을 말하는 것일까? 그것은 우리나라의 뿌리깊은 학연, 지연, 혈연, 폐쇄성, 경직성들이 아닐까? 아직도 선거때를 보면 뿌리 깊은 이 모든 옛 구습들이 벗어져 버려지지 않았음을 보게 된다. 비움이 없이는 새로운 것을 채울 수 없다. 한 개인의 신앙이라는 것도 비움은 새것을 받아 드리는 가장 기초적 단계이다. 후회나 자기부정은 비움이 될 수 없다. 비움은 현실을 똑 바로 보고 내가 변하기 위하여 포기하고 버려야 할 것을 내려놓는 결단에서 시작된다.

 

그 비움이 가능해지면 그곳에 ‘채움’이 일어난다. 한국전쟁이 끝나고 한반도에 전쟁폐허만 남았을때 우리 부모 세대는 가난을 자식들에게 물려줄 수 없다고 이를 악물로 자녀들을 교육시키기 위해서 허리띠를 졸라맸다. 시골농가의 전 재산인 소를 팔아 대학비를 내었고 노후대책도 없이 자녀 뒷바라지의 교육열의 결과로 대한민국은 세계사에 유래 없는 단시간의 경제부흥을 이루었다. 그 혜택으로 오늘을 누리는 우리는 무엇으로 이 땅을 채워야 할까? 이젠 정신문화를 채워야 한다. 무너진 교육의 결과는 어린아이들이 무례함과 무개념과 무목적성을 만들어 미래를 답답하게 한다. 동방예의지국을 자랑하던 이 나라는 이제 어린아이들을 무서워해야 하는 처지가 되었다. 이 정신적 채움이 없이는 우리를 향한 어떤 찬란한 미래의 예언적 찬사도 의미가 없어질 것이다.

 

그 채움이 일어나면 그 때는 ‘나눔’으로 번성하게 되어야 한다. 나눔은 강자의 미덕이며 앞선자의 배려다. 우리가 그렇게 나눔을 받아서 살아 봤듯이 우리도 이제는 나누어 줄 수 있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 개인의 삶에 주변과의 나눔이 일어날 때 존경을 받듯이 한 국가 또한 나눔이 일어날 때 세계속에서 부끄럽지 않은 나라가 될 것이다. 전 세계속에 어려움이 나라들을 신속하게 도와주고 국내의 약자를 돌아보며 동시에 열심히 살아온 분들에게 감사의 박수를 올리며 상생하는 민족, 그 민족이 바로 동방의 현자의 나라 대한민국이 되어지기를 가을 하늘을 우러러 보며 이 땅을 위해 기도해 본다. 하나님의 축복받은 대한민국이여 이제는 일어나 지구촌을 보듬고 가꾸고 보존하는 새로운 글로벌 리더가 되라.

 

조상훈 만방샘 목장교회 목사·수지지부 FIM이슬람선교학교장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