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6년 모바일뱅킹 이체건수 15억 건 증가…창구거래 등 기존 방식은 모두 감소
최근 6년 모바일뱅킹 이용한 계좌이체 287% 증가한 반면 창구거래 등 기존 방식을 통한 이체는 모두 감소현상을 보였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병욱 의원(성남 분당을)이 4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은행권역 이체수단별 거래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7년 은행 계좌이체 건수는 총 73억 건으로, 2012년 58억 건보다 15억 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총 계좌 이체 건수 증가는 스마트폰을 활용해 이체하는‘모바일뱅킹’이체 건수가 늘어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모바일뱅킹을 통한 계좌이체는 2012년 대비 12억 건이 늘어 287% 증가했다. 또한, 인터넷뱅킹과 기타 수단을 이용한 계좌이체도 각각 2억 건과 6억 건이 늘어났다.
반면 창구거래, 폰뱅킹, CD/ATM과 같이 스마트폰 뱅킹 출시 이전에 존재했던 이체 수단들은 모두 이체건수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폰뱅킹을 통한 이체는 2012년 대비 27.2% 감소했고, 창구거래와 CD/ATM은 3.4%와 13.5%씩 줄어들었다.
전체 이체수단에서 모바일뱅킹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2년 7%에서 2017년 22%로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모바일뱅킹과 기타수단 이외의 창구거래, 인터넷뱅킹, 폰뱅킹, CD/ATM을 통한 거래수단의 비중은 모두 감소하였다.
김 의원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한 계좌이체가 많이 늘어난 것은 우리나라 은행산업의 변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유의미한 통계”이라며 “앞으로 금융산업의 이러한 변화에 발맞추어 금융소비자를 보호하며 편의성을 도모하는 핀테크 기술을 활성화하는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