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20천toe에서 2017년 261 천toe로, 성과 36% 줄어
부산, 울산, 전북, 경북, 대전은 2년 연속 지원 규모 감소
2017년 가장 큰 폭 감소는 경기, 부산, 경남, 울산, 전북 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정 의원(파주을)이 4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산자부가 에너지이용합리화 등을 위해 지원하는 자금 융자 규모는 42%, 절감량은 36%가 하락했다. 산업 부문이 국내 에너지소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60.4%에 이른다는 점이다.
산자부는 2013년 6천억 원을 지원해 408천toe를 절감했으나, 2017년에는 3천500억 원 지원, 261천toe 절감으로 성과가 5년 전보다 36%가 줄었다.
현재 세계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등 기후변화 대응, 친환경 에너지 대두 등 에너지업계의 관심이 공급에서 수요관리로 전환되고 있고, 우리나라도 에너지전환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수요관리시장 활성화 등 에너지절약을 강조하고 있다.
하지만, 2016년 기준 우리나라 수요부문 전체 에너지소비에서 산업부문이 차지하는 비중은 60.4%를 차지하고 있어 산업 분야의 에너지효율화 지원과 성과가 중요하다는 지적이다.
박 의원은 “이제는 에너지 공급을 늘리는 것보다 수요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산업부문의 절감 성과를 가져올 수 있는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지자체별 지원현황을 보면, 2016년, 2017년 연속으로 지원 규모가 하락한 지자체는 부산, 울산, 전북, 경북, 대전이고, 전년대비 2017년 하락 규모는 경기, 부산, 경남, 울산, 전북, 충남, 강원, 서울, 광주 순이다. 반면 대구, 전남, 세종, 충북, 인천은 지원 규모가 증가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