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행정기관 녹색제품 구매율, 3년간 하락세

이용득 의원, “환경부부터 솔선수범해야”

이용득.jpg
중앙행정기관의 녹색제품 구매율 평균이 3년 연속 하락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의 녹색제품 구매율 평균은 2015년 62%에서 2016년 59%, 2017년 58%로 하락했다.

녹색제품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제품으로 기존 제품에 비해 제품의 환경성을 개선해 환경표지를 받은 제품 등이 해당된다.

 

녹색제품 구매율이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구매율이 50%를 넘지 못한 기관도 10곳에 달했다. 새만금개발청, 국토교통부, 방위사업청, 행정안전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국방부, 해양수산부, 산림청, 문화재청, 농촌진흥청은 2016년과 2017년 연속해서 녹색제품 구매율이 50%에 못미쳤다.

녹색제품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구매율 역시 3년 연속 하락세다.

환경부는 ‘녹색제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녹색제품 구매지침을 수립하는 주무부처이지만, 지난해 환경부의 녹색제품 구매율은 중앙행정기관 51곳 중 33위에 머물렀다.

환경부의 녹색제품 구매율은 2015년 76.04%, 2016년 55.7%, 2017년 54.2%로 꾸준히 하락세다. 환경부의 녹색제품 구매 활성화 의지가 안이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이용득 의원은 “녹색제품 주무부처인 환경부에서 먼저 솔선수범하는 모습으로 녹색제품 구매에 앞장서야 한다” 며 “환경부가 매년 시행하고 있는 녹색제품 미 구매 사유 분석 보고서에 따른 제도 개선 이행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백상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