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용득 의원, “환경부부터 솔선수범해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이용득 의원이 환경부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중앙행정기관의 녹색제품 구매율 평균은 2015년 62%에서 2016년 59%, 2017년 58%로 하락했다.
녹색제품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른 제품으로 기존 제품에 비해 제품의 환경성을 개선해 환경표지를 받은 제품 등이 해당된다.
녹색제품 구매율이 하락세를 보인 가운데 구매율이 50%를 넘지 못한 기관도 10곳에 달했다. 새만금개발청, 국토교통부, 방위사업청, 행정안전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국방부, 해양수산부, 산림청, 문화재청, 농촌진흥청은 2016년과 2017년 연속해서 녹색제품 구매율이 50%에 못미쳤다.
녹색제품 주무부처인 환경부의 구매율 역시 3년 연속 하락세다.
환경부는 ‘녹색제품 구매 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라 매년 녹색제품 구매지침을 수립하는 주무부처이지만, 지난해 환경부의 녹색제품 구매율은 중앙행정기관 51곳 중 33위에 머물렀다.
환경부의 녹색제품 구매율은 2015년 76.04%, 2016년 55.7%, 2017년 54.2%로 꾸준히 하락세다. 환경부의 녹색제품 구매 활성화 의지가 안이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대목이다.
이용득 의원은 “녹색제품 주무부처인 환경부에서 먼저 솔선수범하는 모습으로 녹색제품 구매에 앞장서야 한다” 며 “환경부가 매년 시행하고 있는 녹색제품 미 구매 사유 분석 보고서에 따른 제도 개선 이행을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서울=백상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