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하대, 인천역사문화센터 공동주최·주관 강화도 순례

인하대가 우리나라 역사 속에서 살아 숨 쉬고 있는 강화도의 옛 모습을 찾아보는 시간을 갖는다.

 

인하대는 인천문화재단 인천역사문화센터와 공동으로 강화도 지역의 해양관방유적 세계유산 등재를 기원하는 ‘지붕 없는 박물관 강화도 한바퀴’ 순례 행사를 연다고 10일 밝혔다. 행사는 12일부터 14일까지 강화도 일대에서 진행된다.

 

순례 행사는 인하대 재학생 50명과 외국인 유학생 30명, 인하국토대장정단 인하서포터즈 20명 등 모두 100여 명이 함께 한다.

 

학생들은 12일 발대식을 갖고 순례를 시작한다. 13일에는 역사해설전문가 2명과 함께 초지진과 덕진진, 광성보, 갑곶돈대, 월곶돈대 등 돈대 12곳을 비롯한 해양관방유적지 곳곳을 답사한다. 14일에는 민간인통제구역 내 평화전망대를 찾는다.

 

해양관방유적은 병자호란 이후 왕실의 보장처(保藏處)인 강화도 방어를 위해 설치한 진무영과 5진7보, 강화산성, 정족산성, 강화외성, 돈대, 포대 등의 군사시설들을 의미한다.

 

이 중 강화도 해안에 설치된 돈대는 조선 숙종 5년(1679)에 승군(僧軍)과 어영군(御營軍)이 80일 간 48개를 축조했고 이후 추가돼 총 54개가 만들어졌다.

 

해양관방유적은 특히 ‘살아있는 유산(Living Heritage)’으로 세계문화유산 등재에도 손색없는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7세기 청나라와 19세기 프랑스, 미국, 일본 등 세계 열강들과 접촉, 충돌한 역사적 증거가 고스란히 남아있을 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군사초소나 시설로 활용되고 있다.

 

순례 기간 학생들은 개인 SNS를 활용해 해양관방유적지를 소개하고 유네스코 세계문화 유산 등재를 위한 홍보활동을 함께 진행한다.

 

순례 행사에 참가하는 이다연(21·철학과 2년)학생은 “강화도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될 수 있도록 이 섬이 지닌 역사적 의미를 널리 알리는 데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인하대는 이번 순례 행사를 시작으로 인천역사문화센터와 강화 해양관방유적을 활용한 공동 사업 추진 등 지역사회 공헌활동을 위한 논의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김준구 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