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산업 성공열쇠는 ‘종합지원센터’… 시제품·평가·인증 ‘원스톱’

인천연구원 ‘드론산업 육성 방향 연구’
비행체 성능시험 ‘인천TP’ 수행 제격
드론안전인증센터는 ‘항공안전기술원’
市에 하루빨리 ‘비행 공역’ 확보 주문

인천시가 지역 드론산업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드론산업 종합지원센터를 구축해야 한다는 인천연구원의 연구결과가 나왔다.

 

17일 인천연구원이 발표한 ‘인천시 드론산업 육성 방향 연구’에 따르면 인천 지역 드론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드론 시제품 제작 지원, 비행체 성능에 대한 시험·평가, 인증서비스가 일체화된 드론산업 종합지원센터 구축이 필요하다.

 

드론 시제품 제작 지원 및 비행체 성능에 대한 시험·평가는 인천시가 직접 투자해 인천로봇랜드를 관리하는 인천경제산업정보테크노파크(인천TP)가 구축사업을 수행한다. 또 드론안전인증센터는 국비를 확보해 로봇랜드에 입주한 항공안전기술원이 운영할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게 연구원의 설명이다.

 

특히 인천연구원은 이를 위해 시가 적극적으로 시비를 투입하고 민간투자를 이끌어내 연구개발(R&D) 및 시제품 제작 지원시설을 설립하고 지역의 대학 및 연구소가 이를 운영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러한 R&D 시설이 드론뿐만 아니라 앞으로 인천로봇랜드를 거점으로 무인이동체 산업 전반을 육성할 수 있는 기초 인프라가 될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전망이다.

 

연구원은 이들 R&D시설 구축과 함께 시가 서둘러 인천 지역 드론 비행 공역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았다. 드론 비행이 가능한 전용 공역은 드론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한 핵심 인프라이기에 타 지자체 역시 경쟁적으로 드론 공역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인천의 경우 로봇랜드에 30여곳의 드론 업체를 비롯해 항공안전기술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이 활용할 수 있는 비행 공역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시가 수도권매립지 부지를 활용해 드론시험비행장을 유치하는 것이 바로 비행 공역을 확보하는 최선의 방법이라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구원 관계자는 “시가 적극적인 비행 공역 지정 활동뿐만 아니라, 드론 전용 시험장에 필요한 비행통행 운영센터, 사무실, 정비고, 이착륙장 등에 대한 적극적인 시설투자를 해야 한다”며 “드론 비행 공역 확보와 연계해 R&D시설인 드론산업 종합지원센터를 구축하는 등 인천이 드론산업의 선도 도시가 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