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균형발전 정책 속도…맞춤형 생활 SOC 사업 발굴·지역혁신협의회 구성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경기도의 지역 균형발전 정책이 속도를 낸다. 시ㆍ군 맞춤형 생활 SOC 사업을 발굴하고, 지역혁신협의회를 설치해 정부와 긴밀히 소통한다는 방침이다.

 

도는 ‘경기도 균형발전을 위한 생활 SOC(사회간접자본) 사업 발굴 및 사업화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 입찰을 공고하고, ‘경기도 지역혁신협의회 운영 지원 조례 제정’을 입법예고했다고 21일 밝혔다.

 

우선 도는 도내 균형발전과 도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요자 중심의 생활 SOC 사업을 발굴하기로 했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 8월 발표한 ‘10대 지역밀착형 생활 SOC 투자 확대 계획’에 선제 대응 차원이다. 생활 SOC란 도서관, 체육시설, 교육시설, 문화시설 등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기반 시설을 말한다.

 

50일간의 기간동안 ▲경기도에 적합한 생활 SOC 개념 설정 ▲31개 시ㆍ군의 현황에 기초한 생활 SOC 사업 발굴 ▲중앙부처 사업과 연결을 위한 사업화 방안 등의 연구가 진행된다. 도는 이를 통해 SOC 투자계획의 원활한 추진, 지역경제 활성화ㆍ일자리 창출에 시너지 효과, 지역경제발전의 효율적 추진, SOC 사업 관련 국비 확보 활성화 등을 기대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역혁신협의회를 구성해 정부의 국가균형발전위원회와 손발을 맞출 예정이다. 이번 조치는 지난 3월 개정된 국가균형발전법에 따른 것이다. 국가균형발전법 제28조를 보면 시ㆍ도지사는 담당 지역의 중장기 전략 수립, 국가균형발전시책의 시행, 지역경제 활성화 촉진 시책 등을 심의하기 위해 지역혁신협의회를 설치해야 한다고 명시됐다. 각 시ㆍ도 협의회의 심의 결과는 국가균형발전위원회에 제출된다.

 

협의회 규모는 20명 이내이며, 국가균형발전과 지역혁신 관련해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인물 혹은 도의원, 공무원 등으로 구성된다. 회의는 반기별 정기회와 협의회장의 요청 속 개최되는 임시회로 나눠 열린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