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99회 전국체전 결산] 2. 17연패 고등부 전력의 명과 암

道 득점 41.8% 높은 기여…정책변화ㆍ체육中 확대 필요

▲ 제99회 전국체전 엠블럼

경기도가 제99회 전국체육대회에서 역대 최다 연속 우승기록인 17연패 달성에 빼놓을 수 없는 공신은 고등부의 선전이다.

 

고등부는 이번 체전에서 금메달 68개, 은메달 58개, 동메달 66개로 총 5만9천261점(고등부 환산 점수 방식)을 득점, 서울시(4만9천229점ㆍ금55 은55 동59)를 따돌리고 종별 우승 17연패를 달성, 경기도 종합우승과 궤를 같이했다.

 

이는 금메달 162개, 은메달 120개, 동메달 150개로 총 6만8천55점을 득점한 경기도 전체 득점의 41.8%(2만8천447점)로 오래전부터 이어져 오고있는 ‘고등부 우승=종합우승’이라는 등식을 다시 한번 입증하며 경기도의 17연패에 기여한 것이다.

 

경기도 고등부 종목 중에는 육상과 체조ㆍ볼링ㆍ럭비ㆍ배드민턴ㆍ바둑ㆍ복싱ㆍ스쿼시ㆍ자전거ㆍ축구ㆍ태권도ㆍ핀수영 등 12개 종목서 1위에 올랐으며, 검도ㆍ근대5종ㆍ레슬링ㆍ수영ㆍ탁구ㆍ테니스ㆍ하키 등 7종목이 2위, 농구ㆍ댄스스포츠ㆍ유도ㆍ카누ㆍ펜싱 등 5종목이 3위를 차지하는 등 총 24개 종목서 입상하는 고른 선전을 펼쳤다.

 

또한 경기도는 자전거 5관왕 주소망(의정부공고)과 4관왕 볼링 손현지(양주 백석고), 수영 다이빙 김영택, 체조 엄도현(이상 경기체고) 등 3명, 볼링 박동혁(광주 광남고)ㆍ이정민(평촌고), 체조 여서정(경기체고) 등 3관왕 3명, 2관왕 13명을 포함해 20명의 다관왕을 배출했다.

 

하지만 이면에는 어두운 그림자도 드리우고 있다.

 

경기도 종목 가운데에는 정구와 핸드볼ㆍ사격ㆍ야구소프트볼ㆍ역도ㆍ우슈ㆍ롤러를 비롯 일부 구기 종목과 개인 종목에서 전력 약화 현상이 점차 심화되고 있어 우려를 낳고 있다.

 

특히, 고등부는 최근 경기도교육청의 전문 체육에 대한 지원 축소와 더불어 G스포츠클럽 육성에만 매몰된 정책변화로 인해 전문체육 성장의 동력을 잃어가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한 체육계 인사는 “아직은 고등부 전력 약화가 두드러지지 않지만 일부 종목의 경우 점진적으로 쇠락하는 것을 볼 수 있다”라며 “지난 전국소년체전 결과를 놓고 볼때 현 추세라면 경기체육의 전력은 수년 내에 급격히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전망했다.

 

고등부 전력의 안정적 발전을 위해서는 전문 학교체육 육성과 G스포츠클럽 육성 정책이 상호 유기적으로 작용하는 선순환 구조를 이뤄 학생 체력 증진과 우수선수 조기 발굴ㆍ육성의 두 투끼를 잡아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와 함께 현재 경기체고와 병설해 운영되고 있는 경기체육중학교를 권역별로 3~4개 정도로 확대 운영, 체육을 통해 미래 진로를 선택하는 전문선수 육성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여론이다.

황선학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