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여성의 삶과 인격을 파괴하는 범죄들을 철저히 예방하고, 발생한 범죄는 끝까지 추적해 반드시 법의 심판대에 세워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서울 용산 백범기념관에서 열린 제 73주년 경찰의날 기념식에 참석해 “사회적 약자의 고통과 목소리에 더욱 귀를 기울여주기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월 경찰은 여성 대상 범죄근절추진단을 설치하고 사이버 성폭력 특별단속을 실시해 불법 촬영자와 유포자 1000여명을 검거하고 해외 서버 음란사이트 50여 곳을 단속하는 성과를 거뒀다”면서도 “그러나 아직 여성들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불안과 공포가 완전히 해소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찰은 국민 곁에 가장 가까이 있는 정의로운 이웃”이라며 “지역의 어린이들, 장애인과 어르신들이 더욱 안전하고 편안할 수 있도록 한 걸음 더 뛰어주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대한민국 임시정부 초대 경무국장(현 경찰청장)이었던 김구 선생 기념관에서 경찰의 날 축사를 하며 “매사 자주독립의 정신과 애국안민의 척도로 임하라는 김구 선생의 당부는 오늘날까지 이어지는 경찰정신의 뿌리가 됐다”며 “지금 이 시간에도 자신의 안위보다 국민의 안전을 우선하는 현장의 영웅들을 보며 김구 선생도 자랑스러워 하실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검경수사권 조정안에 대해 “경찰이 수사의 공정성과 전문성을 획기적으로 높여야 한다”고 주문했다. 그는 “국민들이 수사과정의 결과와 정당성을 체감할 수 있도록 엄정하고 책임있는 수사 체계를 갖추길 바란다”며 “검찰과 경찰이 한편으로 긴밀히 협력하며 한 편으로 서로를 견제하면 국민의 인권과 권익은 더욱 두텁게 보호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정원의 대공수사권을 경찰로 이관한 것과 관련해서도 “국정원의 대공정보능력과 긴밀히 협력하며 정보에서 수사로 이어지는 공조체계를 튼튼히 구축해주길 바란다”며 “특히 안보 수사의 전 과정에서 인권 보호 장치를 마련해 안보사건의 피의자·피해자·참고인 등 수사와 관련된 모든 사람들의 인권이 보호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