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감]설훈,남북, 백두산에‘화산 관측소’세운다

▲ 설훈 의원
▲ 설훈 의원

기상청이 백두산에 남북 공동으로 화산활동을 감시하는 관측소를 구축하는 방안을 수립한 것으로 확인됐다. 화산 분출 시 주변에 끼칠 막대한 인명·재산 피해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그간 중국 주도로 화산 연구가 진행되는 등 북한의 자체 기반은 취약한 상황이어서 남북 협력 필요성이 제기돼왔다.

 

더불어민주당 설훈 의원(부천 원미을)이 28일 기상청에서 입수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따른 기상·기후·지진 분야 단기 및 중장기 협력과제(안)’를 보면 기상청은 조만간 백두산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남북 공동조사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항구적인 관측기반을 구축하기 위해 1단계로 지각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는 화산관측장비와 통신망을 구비해 공동 관측소를 운영할 계획이다. 2단계로 공동 관측소 안에 땅속 마그마 움직임에 따라 미세하게 변동이 일어나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할 장비와 화산가스 및 암석시료 분석 시설도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백두산은 화산이 언제든지 분출할 수 있는 ‘활화산’으로 분류된다.

 

현재 기상청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해 백두산 지표 온도와 천지 면적·수위를 분기별로 분석해 변화상을 파악하고 있다. 그러나 현지 관측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가 힘들다.

 

반면 북한과 국경이 맞닿은 중국은 화산 폭발에 대비해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다. 중국은 1999년부터 백두산에 천지화산관측소를 운영하고 있다.

 

설 의원은 “비정치적인 기상 분야에서의 인도적 협력을 통해 남북의 신뢰관계가 회복될 수 있다”면서 “기상 분야 업무 격차가 해소되면 자연재해 공동대응 등 상호 이익도 추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강해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