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공동행동, 보조금 투입 저상버스 철저한 관리감독 촉구

경기도 버스 정책 개선을 위해 모인 도내 단체들이 막대한 보조금이 투입되는 저상버스의 철저한 관리ㆍ감독을 촉구했다.

 

‘과로 없는 안전한 버스, 교통복지확대, 완전공영제시행 경기공동행동’(이하 공동행동)은 29일 경기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경기도가 저상버스를 운영하는 버스업체에 거액의 세금이 보조됨에도 불구하고 기계적으로 돈만 지급하면 끝나는 관리ㆍ감독 체계의 허술함에 문제가 있다”고 밝혔다.

 

공동행동은 “최근 구매 시 1억 원의 보조금을 지원하고, 매년 운영비로 1천만 원을 지원받는 저상버스가 업체 임의로 폐차됐다. 운행수명이 남은 저상버스를 폐차할 때 국토부와 경기도에 사전 신고를 해야 하지만 도는 폐차 사실을 몰랐다”면서 “게다가 이후 새 차를 구매해 운영비 또한 별개로 지원받았다”고 주장했다.

 

특히 공동행동은 ▲지원된 버스보조금 내역의 철저한 감시와 관리ㆍ감독 ▲저상버스 운행 실태에 대한 전수조사 시행 ▲공공의 교통으로 나아가기 위한 버스 완전공영제 시행 등을 요구했다. 이와 함께 공동행동은 막대한 수리비용 등으로 버스업체들이 저상버스 도입을 꺼리는 상황이지만, 교통 약자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는 저상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도 관계자는 “보조금이 폐차와 새 차에 이중지급된 것이 아니다. 9월 폐차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아직 하반기 보조금이 지급되지는 않았기 때문”이라며 “해당 버스의 폐차를 담당자가 모르고 있었던 것은 맞다. 내년 초쯤에는 저상버스에 대한 전수조사 계획을 세울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현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