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40% 보이스피싱 전화문자 받아…청년층 피해 전체 24%

금감원 설문결과,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취약점 노출

▲ 대한국 보이 스피싱 피해대상에 대한 인식. 자료/금융감독원
▲ 대학생 대상「보이스피싱에 대한 인식도」설문조사. 자료/금융감독원

대학생 절반가량이 보이스피싱 전화나 문자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금융감독원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인식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조사 대상 대학생 95.1%가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해 들어본 적이 있으며 절반 정도인 40.6%는 보이스피싱 전화나 문자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밝혔다.

 

이번 설문조사는 보이스피싱 피해자 중 20~30대 젊은 층이 상당하고 최근에는 보이스피싱 범죄(인출·전달책)에 연루되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고 있어 금감원이 전국 61개 대학교 금융실용강좌 수강생 1천314명을 대상으로 시행됐다.

 

설문 결과 대학생들은 피해 대상으로 60대 이상 노년층을 예상(44.7%)했으나 실제는 20~30대 젊은 층도 다수 피해를 보았다.

 

금감원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연령대별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0~30대가 425억 원으로 전체 피해액의 24%를 차지했다. 60대 이상 노인층 피해액 351억 원(19.8%)보다 많은 수치다.

 

또 40~50대의 피해액은 996억 원으로 56.2%를 차지해 현실에서는 40~50대 피해액이 가장 많았다. 젊은 층보다 노인들이 보이스피싱에 취약하다는 인식과는 다른 결과다.

 

금감원은 20~30대 청년층이 보이스피싱 범죄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취약점을 노출했다며 ‘검찰·금감원이 돈을 안전하게 보관해준다’라는 항목에 ‘네’라고 답변한 비율이 35.2%로 집계됐다. 이는 보이스피싱의 가장 대표적인 유형인 검찰·금감원 등 ‘정부 기관 사칭형’을 숙지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금감원은 설명했다.

 

검찰·금감원 등 기관은 어떤 경우에도 국민의 돈을 대신 맡아주지 않는다.

 

금감원은 금융에 관심이 있는 대학생들마저도 상당수가 보이스피싱 범죄 수법을 잘 모르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 홍보·교육 활동을 더욱 강화할 방침이다.

 

백상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