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종 교통물류거점’ 지정… 홀대 받는 인천시

부산 1천415억 국비 지원 반면 제3연륙교·영종도 도시철도 등 국토부 요청에 1건도 반영안돼
市 “교통혼잡 인천항 선정 시급”

인천시가 국토교통부의 제1종 교통물류거점 연계교통시설 국비지원 정책에서 홀대받고 있다.

 

30일 시에 따르면 지난 2013년 인천항의 제1종 교통물류거점 지정을 희망했으나, 국토부는 인천국제공항을 제1종 교통물류거점으로 지정했다.

 

제1종 교통물류거점은 주요 교통시설과 국가산업단지 주변의 교통혼잡 완화, 물류비 절감 등 체계적인 교통개선을 위해 국토부가 선정, 지원하는 정책이다. 교통물류거점으로 선정되면 인근 도로 및 철도 사업 중 기준에 충족하는 시설을 연계교통시설로 지정해 국비를 지원한다.

 

이에 따라 시는 2014년 제3연륙교 건설, 영종 순환도로 건설, 제2공항철도, 영종도 도시철도, 노오지 JCT 개량공사 사업 등을 인천국제공항의 연계교통시설로 지정해 줄 것을 국토부에 요청했다.

 

하지만, 단 1건도 1차 연계교통시설후보군에 반영되지 않았고 결국 인천은 제1종 교통물류거점 관련 지원이 전혀 없는 셈이다.

 

반면에 서울과 부산, 대구, 경남 등은 지난 2015년 각각 2개, 3개, 3개, 1개 도로사업을 제1종 교통물류거점의 연계교통시설로 지정받아 최고 1천400억원 이상의 국비 지원을 받는다.

 

부산시는 제1종 교통물류거점인 부산항을 거점으로 부산 다대항 배후도로 교차로 입체화 사업과 부산신항 제1 배후도로 교차로 입체화 사업, 부산신항 제1 배후도로 입체화 사업 등이 연계교통시설로 지정돼 최대 1천415억원의 국비 지원을 받는다.

 

서울시도 서울역 교통물류거점을 중심으로 한남대교 북단IC 연결램프 신설사업과 한강로~청파로 간 연결도로 확장 사업이 연계교통시설로 지정돼 최대 405억원이 지원된다.

 

대구시는 동대구역이 거점으로 선정됐으며 대구 팔공산IC 연계도로 사업과 동대구IC 연계도로 사업, 북대구IC 연계도로 사업이 연계교통시설로 지정돼 최대 985억원이 지원된다.

 

양산ICD가 거점으로 선정된 경상남도는 양산ICD 물금~원동 강변도로 개설사업이 연계교통시설로 지정, 최대 680억원의 국비가 투입된다.

 

이에 따라 시는 11월까지 국토부에 인천항과 국가산단 등을 제1종 교통물류거점으로 선정해 줄 것을 건의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인천항(신항·남항)의 연계도로인 제3경인고속도로의 교통혼잡도(V/C)가 현재 0.9(기준 0.8 이상 혼잡· 1 이상 포화) 수준이고 2030년에는 1이 넘어 과포화 상태에 이르는 만큼 인천보다 혼잡도가 낮았던 부산 다대항 배후도로 등과 비교해 제1종 교통물류거점 지정의 필요성을 강조할 예정이다.

 

또 시는 제1종 교통물류거점으로 선정되면 공항 주변에는 제3연륙교·영종~강화도로 건설·제2공항철도, 항만에는 수도권 제2순환고속도로·인천신항선·인천1호선 터미널 연장, 국가산단에는 산단~고속광역도로 대심도 연결 사업을 추진한다는 구상이다.

 

시 관계자는 “인천항 주변은 매일 출퇴근 시간만 되면 고잔 톨게이트부터 엄청난 교통 혼잡에 시달리고 국가산단 주변은 화물차와 승용차가 혼재돼 안전사고가 발생한다”며 “이들 지역을 제1종 교통물류거점으로 선정하는 것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