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과 종교] 지구는 중생이 공생하는 공동체

▲
가이아(Gaia) 이론의 창시자인 영국의 대기 화학자 러브록(James Lovelock)은 지구가 일정 대기비율을 유지하는 살아있는 하나의 생명체라고 주장하였다. 지구는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생명체고,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들의 생존에 최적조건을 유지해 주기 위해 지구는 언제나 스스로 조정ㆍ변화한다는 것이다. 

미국의 생물학자 마굴리스(Lynn Margulis)는 이를 적극 지지하였다. 마굴리스는 진핵생물 기원 가설로 생물학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이 가설은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mitochondria)의 기원을 진핵 세포(eukryotic cell)로 들어간 외부조직에 에너지를 생산해주고 영양소를 얻는 공생적 관계를 이루다 정착했다고 보는 이론이다. 세포공생설(endosymbiosis) 이 가설은 현재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진핵세포 내의 두 조직은 처음에는 적대적인 관계였다. 그렇지만 서로가 자신과 상대를 동시에 살리는 방법이 있었고, 공생하다가 마침내 하나가 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그들이 둘이었다가 하나가 된 것일까? 불교적으로 볼 때, 애초에 그들은 별개 존재가 아니라 지구라는 하나의 거대한 생명 장에서 활동하는 여러 생명인 중생(衆生)이었던 것이다. 그들은 작은 단위의 생명 장 안에서, 하나가 된 것이다. 우리는 배가 고프면 주변에 인연이 있는 것을 먹게 된다. 그것은 그 존재자들의 생명의 장 안에서 타자를 자기화하는 과정이기도 하고, 자기가 타자화되는 과정이기도 한 것이다.

 

가을이 깊어가고, 은행잎들과 단풍잎들이 깊게 물들고, 곡물들과 과일들이 다 익었다. 가을에 낙엽과 과일과 곡물들은 미생물과 동식물 그리고 인간에게 좋은 먹잇감이 된다. 그리고 그 미생물과 동식물의 배출물은 역으로 그 나무에게 좋은 영양소가 된다. 나무의 광합성과 동물과 인간의 음식 섭취 및 소화 과정에서, 각각 산소를 생산하고 이산화탄소를 소모한다든가, 거꾸로 산소를 소모하고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러운 순환과 균형이 유지된다.

이런 순환 속에서 산소 21퍼센트, 질소 78퍼센트 그리고 이런저런 나머지 기체들이 일정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이 순환의 연쇄 속에서는 이타적인 것이 이기적인 것이고, 이기적인 것이 다시 이타적인 것이 된다. 내가 이롭고 남에게도 이로운 자리이타(自利利他)가 두 개의 사건이 아니라 하나의 사건이 된다. 나와 남이 구분되지 않는 자타불이(自他不二)인 것처럼 보이는 공생(共生) 즉 ‘함께 삶’이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지구에서의 생존 최적조건이 되는 비율이 깨질 때, 자연생태계는 물론이고 중생들의 ‘함께 삶’이 깨지는 것이다. 우리는 입이 좋아하는 대로만 먹거나 과하게 먹으면 안 된다. 일정한 대기비율이 유지되어야 하듯이, 생태계에서의 생명들 간의 균형과 조화가 중요하듯이, 내 몸의 세포들 간 균형과 조화를 위해 절제하여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이제 내 몸의 면역계가 몸을 보호하기 위해 과민반응을 하게 된다. 그래서 내 신체 일부조차도 내 신체 일부가 아닌 것으로 착각하며 공격을 하게 된다. 이것이 면역성 질환으로, 몸의 균형이 깨지면서 몸 생명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의심을 신호 보내는 것이다.

근대 이후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는 주체와 개인이 강조되면서 인간이 함께 사는 공동체 존재자이며 지구가 공동체 존재자들의 하나의 생명의 장임을 망각하게 하였다. 그리고 급속한 산업화와 자연생태계의 파괴는 인간과 동물 그리고 지구 전체가 점차 공멸(共滅)의 길을 가고 있는 것이다. 그 신호들이 곳곳에서 감지되고 있다. 우리는 그것에 지금보다 더 귀 기울이고 더 눈을 떠서, 인간 자신과 자연생태계 전체가 하나의 살아있는 생명의 장으로서 지구를 더 가꾸어야 한다.

 

김원명 한국외대 철학과 교수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