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뛰는 中 불법조업 어선… ‘남북공동어로구역’ 퇴색 우려

서해5도 어민들, 중국어선 갈수록 극성 매일 새까맣게 몰려와 ‘어장 황폐화’
이르면 내년중 공동어로구역 운영해도 느슨한 단속땐 오히려 中 어선 ‘잔치’

서해5도 어민들이 남북 공동어로구역 조성 분위기를 환영하면서도 중국 불법조업 어선 단속부터 강화해 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4일 인천시에 따르면 서해5도 남북공동어로구역 운영과 관련, 시 차원에서 실행 가능한 세부계획을 손질하며 운영 준비를 서두르고 있다. 남북은 지난 9월 남측 백령도와 북측 장산곶 사이에 남북공동어로구역 시범구역을 설정하되 구체적인 경계선은 남북군사공동위원회에서 협의해 확정하기로 했다.

 

인천시는 공동어로구역 시범운영이 이르면 내년 하반기에는 가능할 것으로 보고, 이 구역에선 서해5도 어선만 조업할 수 있도록 ‘어선어업안전규정’ 등 관련 법규 개정을 준비 중이다.

 

이에 대해 서해5도 어민들은 공동어로구역 운영을 환영하면서도 ‘중국어선 퇴치’를 위한 강력한 규제가 병행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백령도 주민 A씨(55)는 “중국 불법조업 어선에 대한 단속을 현재보다 훨씬 강화하지 않는 한 남북공동어로구역이 생긴다고 해도 인근 어민들에겐 별다른 의미가 없다”고 잘라 말했다.

 

그는 “지금도 매일같이 중국 불법어선들이 새까맣게 몰려오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단속은 극히 일부분에 그치고 있다”고 꼬집었다.

 

또 다른 백령도 주민은 “해경에선 어쩌다 중국어선 하나 잡아놓고 열심히 일하는 것처럼 포장만 하고 있다”며 “공동어로구역 운영과 함께 중국어선을 어떻게 막을지 구체적인 실행계획부터 세우는 게 어민들 입장에선 가장 중요한 문제”라고 말했다.

 

연평도 한 주민도 “공동어로구역이 생겨도 남북 어선 숫자보다 중국어선이 압도적으로 많을 것”이라며 “떼로 몰려다니며 불법조업을 하는 중국어선 단속을 어떻게 강화할지부터 밝혀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해경에 따르면 서해5도 특별경비단 창단 이후 불법조업 중국어선 나포실적이 지난해에는 18척, 올해는 10월 현재까지 20척으로 나타났다.

 

서해5도 특별경비단 관계자는 “창단 이후 우리 수역 내 불법조업 행위에 대해 강력하게 대처하고 있으며, 불법조업 어선 나포시 인근 중국 어선들도 함께 퇴거 조치를 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우리 어민들이 안전하게 조업할 수 있도록 민·관·군 합동으로 단속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김준구·허현범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