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연구원, “벤처 창업 초기 단계 투자 비중 줄고 있다”

기술 창업에 정부의 투·융자 복합지원 필요

한국금융연구원.jpg

벤처 창업 초기 단계에 대한 투자 비중이 줄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4일 한국금융연구원의 금융브리프 ’금주의 논단 - 국내 벤처 금융의 현황과 과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신규 벤처투자 규모는 1조6천억 원이다. 전년 동기 대비 63% 급증했지만 창업 초기 단계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감소하고 있다.

전체 벤처투자 가운데 창업한 지 3년이 되지 않은 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은 2016년 37%에서 올해 상반기 30%로 감소했다.

반면 창업 3∼7년 차인 벤처투자 비중은 2016년 29%에서 올해 상반기 36%로 늘었다. 정부의 벤처기업 지원정책이 창업 초기 단계보다는 성장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는 분석이다.

정부는 2020년까지 10조 원 규모의 혁신모험펀드를 조성하고 한국모태펀드를 통해 3조7천억 원의 재정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성장지원펀드에 2조6천억 원, 혁신 창업펀드 배정액은 1조1천억 원이다.

2022년까지 매출 1천억 원 이상 벤처기업 800개를 만들고 이들 기업의 성장을 통해 혁신성장을 이루고자 하는 정책 목표가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정부는 창업 초기 단계 벤처에 투자하는 엔젤투자 영역에서 좀 더 역할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이지언 선임연구위원은 밝혔다.

엔젤투자는 투자 기간이 길고 기업공개를 하기 전에는 투자금 회수가 힘들어 민간 자금이 유입이 쉽지 않다.

민간 전문가가 창업팀을 심사하면 정부가 10억 원을 지원하는 스타트업을 위한 IT 인큐베이터 프로그램(TIPS)이 있지만 지원은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이 연구위원은 “TIPS와 엔젤투자 매칭 펀드 운영을 확대해야 한다”며 “기술보증기금의 보증 연계 투자도 확대해 기술창업에 대한 정부의 투·융자 복합지원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고 전했다.

서울=백상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