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일보로고
[도민 모두가 삶의 기본 누리는 새로운 경기도] 하. ‘복지 경기’ 가동
정치 도민 모두 삶의 기본 누리는 새로운 경기도

[도민 모두가 삶의 기본 누리는 새로운 경기도] 하. ‘복지 경기’ 가동

‘일자리·복지 확대’ 누구나 행복한 道 완성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늦기 전에 경기도로 이사 오세요”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주요 복지 정책을 발표하면서 SNS에 수차례 덧붙인 말이다. 내년부터 이 지사의 ‘달콤한 권유’에 한 층 힘이 실릴 전망이다. 경기도가 ‘2019~2022년 사회보장 정책 로드맵’을 마련했기 때문이다. 도는 5대 전략을 중심으로 83개 세부사업을 수립, 경기도 복지의 청사진을 제시한다는 복안이다.

 

도는 ‘삶의 기본을 누리는 새로운 복지 경기도’를 목표로 한 제4기 경기도지역사회보장계획을 공개했다. 이번 계획은 사회보장급여법 제35조에 근거해 수립하는 법정계획이며, 지역의 특성과 요구사항이 반영됐다.

 

이번 계획은 ▲충분한 일자리 만들기(취업률) ▲든든하게 보살피는 동네 만들기(돌봄 서비스) ▲누구나 즐거운 생활문화 만들기(평생학습 및 문화) ▲안심하고 살 수 있는 삶의 터전 만들기(주거) ▲행복한 균형 만들기(균형 복지) 등 5대 전략을 중심으로 짜였다. 이를 실행하기 위한 예산 규모는 총 3조 7천억여 원(국비, 도비 등)이다.

 

우선 일자리 확대에 힘쓴다. 일자리를 통한 소득보장이 도민의 생활안정 및 취약계층의 사회참여 기회 확대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주요 사업은 공공형 어르신 일자리 및 수행기관 확대, 경력단절여성 디딤돌 취업지원, 청년면접수당 지원 등이다. 도는 1조 3천700억여 원을 투입, 19개 과제를 통해 단순 일자리 창출과 함께 직업능력 개발 및 직업을 유지하는데 필요한 교육을 제공할 계획이다.

 

이어 지역 내 돌봄 정책을 강화한다. 노인, 장애인, 아동ㆍ청소년 등이 언제ㆍ어디서든 마음 편히 돌봄 서비스를 지원받을 수 있도록 꾸린다는 구상이다. 이를 위해 생애주기별 자살 취약계층 관리 확대, 치매안심마을, 도내 초등학생 대상 치과주치의 사업 등 17개 과제(2천600억여 원 규모)를 진행한다.

 

삶의 질을 보다 끌어올릴 수 있도록 평생학습과 문화를 위한 12개 과제에 500억여 원의 투자도 이뤄진다. 또 1기 신도기 개발이 진행된 지 30여 년이 지남에 따라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환경도 강조된다. 18개 과제에 6천300억여 원이 책정됐다.

 

끝으로 도민들의 행복한 균형 만들기가 주요 과제로 떠오른다. 도는 31개 시ㆍ군 간, 북부ㆍ남부 간, 계층 간 복지서비스 제공의 차이가 상당량 발생하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이에 최소한의 복지 기준을 마련, 한 명의 도민도 빠짐없이 행복한 경기도를 만들겠다는 전략이다. 여기에는 17개 과제(1조 3천700억여 원)가 꾸려졌다.

 

이에 대해 김용 도 대변인은 “촘촘하고 도민을 따뜻하게 보살피는 정책으로 ‘새로운 복지’ 청사진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계획은 오는 14일 도민 공청회에 이어 경기도의회의 심의를 받고 정식으로 도민에게 선보여질 예정이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