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지방분권 ‘자치조직·자치입법·재정’ 3권 확보 필수

본보 등 주최 ‘인천, 왜 지방분권이 필요한가!’ 토론회
지방분권 주체는 정부 아닌 지자체 자치입법·재정 ‘헌법 개정’ 필요 사안
국민적 공감대… 정치권 논의 필요 지역상생발전기금 개편 등 현안 모색

▲ 7일 오후 인천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인천, 왜 지방분권이 필요한가!’ 토론회에서 페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 7일 오후 인천문화예술회관 국제회의장에서 열린 ‘인천, 왜 지방분권이 필요한가!’ 토론회에서 페널들이 토론을 하고 있다. 조주현기자
진정한 지방분권을 위해선 지자체가 재정과 조직 등의 주도권을 가져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인천언론인클럽과 경기일보, 경인일보, 기호일보, 중부일보, 경인방송iFM, TBN경인교통방송, CJ헬로북인천방송, NIB남인천방송, 티브로드 인천방송 등 10개 언론 기관이 주최하고 인천언론인클럽이 주관한 ‘인천, 왜 지방분권이 필요한가!’ 토론회가 7일 열렸다.

 

홍미영 전 부평구청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 날 토론회에서는 안성호 충북대학교 정치외교학과 교수가 ‘지방분권과 지방자치발전’ 발표를 진행됐다.

 

안 교수는 “지방분권을 중앙정부가 지방정부에 자신들의 몫을 양보하는 것으로 인식해서는 성공할 수 없다”며 “지방분권의 주체는 각 지자체이며, 인천시도 그 과정에서 행동을 취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지방 분권을 위해선 자치조직, 자치입법, 재정 분권이 중요하다”며 “자치조직권은 앞으로 지자체 간 형평성과 균형 유지를 위해 최소기준만 정한다는 것이 중앙정부의 입장이라고 생각한다”고 견해를 밝혔다.

 

이와 함께 “자치입법권은 국회의원이 제정하는 법률과 광역의원이 정하는 조례가 같은 무게를 가질 수 있도록 조정해야 한다”며 “자치입법과 자치 재정권은 헌법 개정이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적 공감대 형성을 바탕으로 정치권이 심도있게 논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박찬훈 인천시 정책기획관, 이정 대한민국지방신문협의회 부회장, 신은호 인천시의원, 박준복 전 참여예산센터 소장, 박정환 기호일보 정경부장의 토론이 진행됐다.

 

박 정책기획관은 지역상생발전기금의 합리적 개편과 LNG 지역자원시설세 과세대상 확대를 재정 분권 방안으로 언급했다. 이정 부회장은 지자체의 지역 신문 지원 강화를 강조했다.

 

신 의원은 지방의회 운영 자율성 확대, 지방의회 인사권 독립, 정책지원 전문입력 확충을 주장했고, 박 소장은 지난 10월 발표된 재정 분권 방안은 지방정부의 역할은 강화됐지만 재정 분권 방안이 미흡해 이 부분에 대한 개선책을 주문했다.

 

마지막으로 박 부장은 특별지방행정기관이 중앙정부의 통제를 받는 점을 지적하며 중앙정부의 권한과 자원을 지역으로 분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