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와 조직강화특별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전원책 변호사 간 갈등이 8일 최대 분수령을 맞고 있다.
당 비대위는 전 변호사에게 전당대회 연기는 불가능하고, 조강특위 본연의 활동에 충실해달라는 공식 입장을 최종적으로 전달하기로 해 전 변호사의 반응이 주목된다.
김용태 사무총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 결과 브리핑을 통해 “비대위는 그동안 대내외에 공포했던 전당대회를 포함한 모든 일정에는 어떠한 변화도 있을 수 없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사무총장은 특히 “조강특위 역시 이러한 비대위의 결정을 준수해야 하고, 이에 따라 조강특위 활동과 내용을 이행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전달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조강특위 구성원들은 당헌당규상 조강특위 역할범위를 벗어나는 언행에 각별히 유의해달라는 뜻도 분명히 전달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또한 그는 “2월 전대를 기점으로 역순하면 조강특위 활동은 1월 중순 이전에 종료돼야 하고, 당협위원장 교체 여부는 12월 중순 전후로 결정돼야 한다”면서 “조강특위의 역할은 사고 당협 교체이다. 여기서 벗어난 것은 당헌·당규 위반”이라고 지적했다.
비대위의 이같은 결정은 전대 연기 등 각종 돌출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전 변호사에 대한 ‘최후통첩’이란 해석이 나오고 있다. 전 변호사로 인해 혼란이 가중되는 것을 더 이상 묵과할 수 없다는 것이다.
앞서 전 변호사는 조강특위 위원으로 선임된 이후 전대 일정 연기 주장을 비롯,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계파 갈등 등 각종 이슈에 대해 거침없는 발언으로 당협위원장을 선임하는 조강특위의 본연의 역할을 넘는 ‘월권’이라는 당내 비판이 제기됐다.
이는 또한 전 변호사를 선임한 김병준 비대위원장 등 비대위의 러더십에 대한 비난으로 확산될 기미를 보였다.
다음 조강특위 회의가 9일 오후 열릴 예정된 가운데 전 변호사가 비대위의 입장을 수용할 지 반대로 조강특위의 활동에 부당한 간섭을 하고 있다고 강력 반발할 지 주목된다.
김재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