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사업 내년부터 본격 실시…복지부와 사회보장 협의 끝내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 이재명 경기도지사. 경기일보 DB
출생아에 대한 기본소득 개념인 ‘경기도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이 내년부터 본격 실시된다. 최종 관문인 보건복지부와의 사회보장제도 협의가 완료됐기 때문이다.

 

경기도는 복지부와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에 대한 협의를 마쳤다고 11일 밝혔다. 사회보장기본법은 지자체가 사회보장제도를 신설하거나 변경하면 신설 또는 변경의 타당성, 기존 제도와의 관계, 사회보장 전달체계에 미치는 영향 및 운영방안 등에 대해 복지부와 협의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복지부가 산후조리비 지원사업에 동의함에 따라 내년부터 신생아 출생일을 기준으로 도내에 1년 이상 거주한 출산가정은 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출생아 1인당 50만 원의 산후조리비를 지원받게 된다. 도는 이를 위해 산후조리비 지원비 296억 원을 내년도 본예산안에 반영했다. 시ㆍ군비 127억 원(30%)을 더해 423억 원으로 내년 신생아 8만4천600명의 산후조리비를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산후조리비는 산후조리원 이용은 물론 산모ㆍ신생아의 건강관리, 모유수유 및 신생아 용품, 산모 건강관리를 위한 영양제ㆍ마사지ㆍ한약 처방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대상자들은 신생아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에 신청해야 하며 산후조리비는 지역화폐로 지급될 예정이다.

 

도 관계자는 “산후조리비 지원 사업을 통해 출산 가정의 경제적 부담이 많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아이 키우기 좋은 경기도 조성을 위해 다양한 방안을 마련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