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협의회 발족 1년여 만에 학교 신증축·과밀 학급 등 시설 개선·고질적 민원 해소
“2022년 중학교 신설 검토”
광주하남교육지원청의 조직이 확대 개편된지 1년 2개월여 만에 학교 신ㆍ증축, 과밀학급 등 고질적 민원이 해소됐다.
이렇게 되기까지 광주하남교육지원청 초대 경영지원국장으로 부임한 조달수 국장의 중재 노력이 있었다.
조 국장은 취임 이후 급변하는 교육 환경과 현안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고자 광주하남교육행정협의회를 발족시켰다. 이는 교육행정직 공무원의 전문성 신장과 효율적인 교육행정제도를 모색하기 위한 것으로, 각급 학교와 교육지원청 간 직종별 교류 활성화를 통해 학교현장 지원에 따른 업무 노하우를 공유하고 소통을 강화하고 있다.
이 같은 노력으로 토지주간 이해관계가 얽혀 수년간 풀리지 않았던 가칭 신현초등학교 신축 문제가 34개 학급 규모로 이달 중 착공을 앞두고 있다. 또 학생 수 급증으로 증축을 추진하다 지역주민의 반발에 부딪혀 지연됐던 신현중학교 증축도 이달 중 착공할 예정이다.
조 국장은 “오포읍 신현리와 능평리의 인구 증가를 고려해 신규로 중학교 설립을 검토했지만, 현재로서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신현중학교를 30학급 규모로 증축하는 공사가 연내 마무리되면 과대ㆍ과밀에 따른 불편이 일정 부분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중학교 추가 설립은 2022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8월에는 광주하남교육지원청과 광주시가 능평초등학교 시설 복합화(학교, 수영장 및 공영 주차장) 사업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시가 능평초교 복합화 시설 건립비용 210억원을 지원키로 했다. 능평초 시설 복합화는 학교부지 내에 지역주민의 수요가 많은 체육ㆍ문화ㆍ복지ㆍ공공에 관련된 시설물을 건립해 학생과 지역주민이 함께 사용하는 사업이다.
조 국장은 “과거 단순히 학생을 수용하고 교육하는 것이 목적이었던 학교가 현재는 교육과 지역사회의 화합을 함께 만들어가는 평생교육의 장으로 바뀌었다”며 “능평초 학교시설 복합화는 도시개발계획에 따른 학교시설 복합화가 아닌 경기도 내에서 유일하게 교육지원청과 지자체가 자체적으로 협력해 학교 및 체육ㆍ복지시설을 건립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학교가 학생의 학습 공간이라는 순기능을 뛰어넘어 지역사회의 공공시설이자 지역주민의 평생교육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데에 큰 의미가 있다. 앞으로 광주ㆍ하남지역 학교 설립의 모범사례로 기록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조 국장은 “교육은 학생 및 현장 중심으로 이뤄져야 한다. 이를 위해 교육지원청은 학교 현장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학생과 학부모의 적극적인 관심이 있어야 가능하다”고 말했다.
광주=한상훈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