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운행 중인 자동차의 배출가스 등급 정보(DB)를 검증할 기술위원회가 발족한다. 이에 따라 미세먼지 배출량에 따른 정확한 정보 체계가 구축, 관련 대책의 효과가 커질 전망이다.
환경부는 14일 서울 중구에 있는 한 호텔에서 자문기구인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 DB 기술위원회’ 발족식을 연다고 13일 밝혔다.
위원회는 환경부 소속 교통환경연구소와 자동차 제작사, 시민단체 등 관계기관 전문가 30명으로 구성된다. 위원회는 미세먼지 배출량을 따져 매긴 등급의 정확도를 검증한다. 아울러 자동차 정보 관리 분야를 개선할 방안을 찾고, 배출가스 등급에 따라 운행을 제한하는 정책에 대한 대국민 홍보자문 등도 맡는다.
환경부는 내년 하반기 완성을 목표로 미세먼지 매출량에 따른 등급 정보를 구축하고 있다. 국내 운행 중인 차량 2천300만여 대 모두가 대상이다. 환경부는 우선 서울과 인천, 경기도 등 수도권에서 운행제한 대상이 될 5등급 차량의 분류를 11월 말까지 완료하고 그 결과를 12월 1일부터 차량 소유주에게 안내할 예정이다.
‘자동차 배출가스 등급 산정에 관한 규정’에 의해 5등급으로 분류된 노후 경유차는 내년 2월 15일부터 고농도 미세먼지 비상저감 조치가 내려질 때 수도권 내 운행이 제한된다.
환경부 관계자는 “고농도시 운행제한 대상이 되는 차량에 대해 조기 폐차 지원, 배출가스 저감장치 부착 등 필요한 지원을 대폭 확대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여승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