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경기도가 44만 8천 개에 달하는 일자리 창출에 나선다.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일자리 정책의 핵심인 공익적 일자리 구축 등을 중점 추진 전략으로 삼고 ‘경기도형 일자리’ 구축에 박차를 가하겠다는 복안이다.
18일 도에 따르면 도는 이 같은 목표치를 잠정 설정하고 목표 달성을 위해 67개의 중점 추진과제, 540개의 실ㆍ국별 자체 추진과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우선 도는 민선 7기 일자리 창출 추진 전략을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는 공익적 일자리 창출, 미래를 준비하는 혁신 일자리 생태계 구축, 시ㆍ군과 함께 만드는 일자리 정책마켓 운영으로 정했다.
도는 이 같은 일자리 창출 추진 전략과 목표치 달성을 위해 행정2부지사와 실ㆍ국장, 공공기관 관계자들로 구성된 일자리대책본부를 통해 일자리 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ㆍ관리하는 한편 시ㆍ군과의 협의체도 구성, 운영할 방침이다. 추후 도는 민선 7기 일자리 창출 목표치와 분야별 추진 사업 계획 등을 확정, 발표할 계획이다. 구체적인 일자리 창출 목표치는 사업별 세부적인 검토 과정에서 일부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관련, 도는 공공 일자리ㆍ공익적 민간 일자리 창출을 골자로 한 ‘경기도형 일자리 정책’을 추진 중이다. 공익적 민간 일자리는 운수ㆍ보건 등 공공의 이익을 위해 운영되는 민간 업체의 일자리를 의미하며 버스 기사 등이 대표적이다. 앞서 도는 양질의 버스 운영 인력 확보 등을 위해 내년부터 2022년까지 총 8천여 명의 버스 기사를 양성하겠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또 경기도형 일자리의 초석으로 작용할 ‘행복마을관리소’가 이달 안산, 군포 등 도내 5개 시에서 시범 운영을 시작한다. 행복마을관리소는 공공부문 일자리를 확대하는 경기도형 일자리의 대표 사업으로, 10명의 행복마을지킴이가 관리소별로 배치돼 여성안심귀가, 홀몸노인 교통지원, 택배 보관, 공구 대여 등 생활밀착형 공공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도는 원활한 일자리 정책 추진을 위해 ‘새로운 경기 노동일자리 대책본부’를 출범하고, 추경에 맞춤형 일자리 연계사업 예산 3천613억 원을 편성하는 등 일자리 문제 해소를 위한 각종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도 관계자는 “최근 고용시장의 어려움 등이 있지만,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기 위해 시ㆍ군과 함께 다양한 사업을 발굴ㆍ추진할 계획”이라며 “신규 일자리도 양보다는 질에 무게중심을 두고 창출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여승구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