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3당 “민노총 오늘 총파업, 국민 어려움 외면 한 것”

‘반정부 투쟁’ 한목소리 비판… 경사노위 복귀 촉구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 바른미래당 등 여야 3당이 21일 총파업을 예고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혹은 민노총)을 한 목소리로 비판하고 나섰다.

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인천 부평을)는 20일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민주노총의 총파업 예고에 대해 “유감스럽게 생각한다”면서 “노동계가 경제사회 주체 중 하나로서 경제, 국가와 사회 발전을 위해서 고민해주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홍익표 수석대변인도 “여러 가지로 경제상황이 어려운데 지금 시점에서 민주노총이 총파업을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비판하며 “가급적 경사노위(경제사회노동위원회)에 복귀해 책임 있는 주체로서 대화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한국당은 불법 파업에 대해 문재인 정부가 강력하게 대응할 것을 촉구했다.

윤영석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민노총을 비롯한 노동계가 지금과 같은 강경투쟁 방식으로만 일관한다면 국가의 경제회복은 강 건너 불구경하는 꼴이 될 것이고, 최대의 피해자는 국민이라는 사실을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윤 수석대변인은 또한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사노위조차 끝내 외면하고, 기업보다 노조가 더 중요한 나라를 만들겠다는 민노총은 귀족노조를 뛰어넘어 황제노조라도 되겠다는 것이냐”고 비판했다.

특히 그는 “친노동을 표방한 문재인 정부 들어서 현재의 민노총은 무소불위 권력집단화 됐다”면서 “지금이야말로 노동개혁의 적기라는 점을 고려해 노동계의 명분 없는 불법파업에 강력하게 대처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바른미래당 김삼화 수석대변인도 논평에서 “민주노총이 탄력근로제 단위기간 확대 등을 반대하며 내일 총파업을 예고했다”며 “민주노총은 지금 파업할 때가 아니라 경사노위에 복귀해 노동개혁에 앞장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 수석대변인은 특히 “연공서열 파괴, 직무급제 도입 등 과감한 노동개혁으로 정규직과 비정규직, 대기업과 중소기업, 민간과 공공부문 사이의 격차를 줄여야 양극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그는“민주노총 노조의 배타적 이익이 전체 노동자의 권익향상을 가로막는다”면서 “민주노총이 배타적이고 경직된 노동자의 권익을 내세울수록 공공부문과 대기업 정규직이라는 울타리를 벗어난 대부분 노동자의 권익은 더욱 악화하기만 할 뿐”이라며 비판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