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경기학 학술대회’가 22일 경기도인재개발원에서 열린다.
경기학회, 경기연구원, 경기도민속학회, 역사문화콘텐츠연구원이 공동 주최하는 이번 학술대회는 경기 천년을 맞아 급변하고 있는 국가의 사회ㆍ경제적 환경을 진단하고, 경기도의 미래지향적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기획했다.
50명의 학자와 전문가들이 발표, 토론, 사회자로 참여하고, ‘경기 천년 새로운 공동체를 꿈꾸다’를 주제로한 총 32편의 논문이 발표된다.
각각의 논문 발표와 토론은 ▲경기지역 사회와 ‘민족 공존’ ▲‘경기도의 미래, ‘인공 지능과의 공존’ ▲경기지역 공동체 ‘세대 공존’ ▲다문화 속의 경기도 ▲경기도와 유라시아 ▲경기도 민속의 과거와 현재, 미래 ▲경기도 역사 ▲경기도의 문화유산 ▲경기도의 문화와 예술 등 총 9개의 소주제로 나누어 경기도의 전반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그동안 경기학 연구학자들이 연구해온 경기도의 역사, 문화유산, 민속, 문화 등 여러 학문 분야와 다문화, 유라시아 문제 등에 대한 성과도 발표할 예정이다.
강진갑 경기학회장은 “경기학의 연구 영역을 역사와 문화에 한정하지 않고 경기지역 사회의 현재와 미래 문제까지 확장하여 다루었다는데 이번 학술대회의 의미가 있다”며 “매년 지역 학술단체 및 연구기관과 공동으로 경기학 학술대회를 개최해 경기학과 경기 지역 공동체의 발전에 기여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송시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