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수출 8대 주력업종 가운데 글로벌 경쟁력 우위를 가지는 업종이 현재 4개 업종에서 3년 후 1개 업종만 유지할 것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25일 한국경제연구원은 현재 한국이 국제경쟁력 우위를 갖는 분야는 무선통신기기, 디스플레이, 석유제품, 선박 등 4개지만 3년 뒤엔 오직 선박만 경쟁력 우위를 가질 것이라 내다봤다. 이는 수출 8대 주력업종인 반도체ㆍ석유화학ㆍ선박ㆍ자동차ㆍ석유제품ㆍ철강ㆍ디스플레이ㆍ무선통신기기의 경쟁력 현황과 전망에 대해 업종 기업들을 설문 조사한 결과다.
한국의 업종별 경쟁력을 100으로 볼 때 경쟁력 비교우위에 있는 4개 업종의 최대 경쟁국은 모두 중국이고, 경쟁력 지수는 90으로 평가됐다.
경쟁력 비교열위에 있는 업종은 4개로, 업종별 최대 경쟁국의 경쟁력 지수는 반도체 110(미국), 철강 110(일본), 자동차 130(일본), 석유화학 110(사우디아라비아)이었다.
그러나 3년 후 한국이 경쟁력 우위를 갖는 업종은 선박만 남고 무선통신기기와 디스플레이에서 중국에 경쟁력이 추월, 철강과 석유제품에서는 비슷해질 것으로 나타났다.
주력업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가장 큰 애로사항은 신흥경쟁국의 추격이었다. 이어 보호무역 확산, 신제품 개발 어려움 등을 꼽았다.
김해령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