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인 더불어민주당과 바른미래당·민주평화당·정의당 등 야 3당은 26일 선거제도 개편 문제를 놓고 치열한 신경전을 벌였다.
야 3당 대표와 원내대표들이 전날 연동형 비례대표제 도입을 촉구하면서 ‘문재인 대통령과 이해찬 대표의 책임 있는 답변’을 요구한 데 대해 민주당이 이날 “국회 정개특위에서 논의돼야 한다”고 반박하자 야3당은 일제히 여당을 향해 공세를 폈다.
민주당 홍익표 수석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민주당은 윤호중 사무총장(구리)을 중심으로 선거제도 개편과 관련해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논의해나가고 있다”면서 “정개특위에서 이러한 사항들이 적극적으로 논의돼서 국민의 민의가 제대로, 또 적극적으로 반영되는 선거제도 개편을 이뤄내는 결실을 맺을 수 있길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브리핑 후 기자들과 만나 “바른미래당, 민주평화당, 정의당 안이 다 다른데, 3당이 합의된 안이라도 가져와라”며 “확정안이 없는데 우리 보고 안을 내놓으라고 하는 것은 잘못된 것이며 정치공세”라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당 대표가 (선거제도 개편안을) 결정하라는 것은 정개특위를 무력화하자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정의당 정호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홍익표 대변인이 정개특위 무력화를 운운한 대목은 매우 유감”이라며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어렵다느니, 손해를 본다느니 등의 말로 정개특위의 논의 영역을 난감하게 몰아가 버린 것은 바로 집권 여당이다. 염치없는 소리도 정도껏 해야 한다”고 역공했다.
그는 특히 “이해찬 대표가 양보와 손해를 운운하면서 그동안 연동형 비례대표제 입장과 다른 난데없는 목소리가 나오더니 이어 여당의 스피커들이 일제히 같은 기조로 엉뚱한 발언들을 쏟아내고 있다”고 비판했다.
바른미래당 손학규 대표는 전북에서 열린 농업의 미래를 위한 간담회‘에서 “민심을 왜곡하는 선거제도를 이제는 개혁해야 한다”면서 “내년도 예산에서 야당의 협조를 구하려면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포함한 정당한 요구를 들어줘야 한다”며 여당을 거듭 압박했다.
민주평화당 정동영 대표도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달 초 국회를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은 중앙선관위가 아주 좋은 안(권역별 연동형 비례대표제)을 제안했기 때문에 그것을 기준으로 선거제도 개혁이 이뤄지기를 바란다는 의견을 피력했다”며 “지금 민주당은 대통령의 그런 의지와 전혀 다른 방향의 이야기들을 꺼내놓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재민·정금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