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독: 최국희
출연: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 뱅상카셀 등
줄거리: 국가부도까지 남은 시간 일주일, 위기를 막으려는 사람과 위기에 베팅하는 사람, 그리고 회사와 가족을 지키려는 평범한 사람까지, 1997년 IMF 위기 속 서로 다른 선택을 했던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
한국영화 최초의 IMF 소재
대한민국 최고의 경제 호황을 믿어 의심치 않았던 1997년. 하지만 한국은행 통화정책팀장 한시현(김혜수)은 곧 엄청난 경제 위기가 닥칠 것을 예견하고 이 사실을 보고한다. 정부는 뒤늦게 국가부도 사태를 막기 위한 비공개 대책팀을 꾸리지만 과연 위기를 벗어날 수 있을까. 영화는 실제 외환위기 당시 비공개로 운영됐던 대책팀이 있었다는 한 줄의 기사에서 시작됐다. 아무 예고도 없이 들이닥친 경제 재난, 그 직전의 긴박했던 순간을 영화적 상상력으로 일주일에 담아 재구성했다. 한국영화 최초로 IMF 소재를 다뤄, 촌철살인의 대사, 1997년의 리얼한 시대상 등으로 전 세대의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김혜수 유아인에 뱅상 카셀까지
'국가부도의 날'은 김혜수, 유아인, 허준호, 조우진 등 이름만으로도 신뢰를 주는 대한민국 대표 실력파 배우들부터 할리우드 연기파 배우이자 프랑스 국민 배우 뱅상 카셀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캐스팅 라인업을 완성했다. 김혜수는 경제 전문가로 굳은 신념을 갖고 위기를 돌파하려는 인물로 극을 이끌고, 유아인은 위기에 베팅하는 금융맨으로 새로운 변신을 꾀했다. 허준호는 벼랑 끝에 몰린 가장의 절박함을, 조우진은 국가의 위기를 기회로 삼으려는 캐릭터를 각각 그리며 긴장감을 배가시킨다. 마지막으로 뱅상 카셀은 IMF 총재 역으로 출연하며, 한시현 역의 김혜수와는 대립각을 세운다. 한국과 프랑스를 대표하는 배우들의 라인업은 한 시도 눈을 뗄 수 없게 만드는 재미 중 하나다.
스크린으로 그대로 옮긴 1997년
영화는 1997년이라는 시대와 정서의 리얼리티를 생생하게 구현하는 것이 중요했다. '검사외전' '군도:민란의 시대' '공작' 등에 참여한 최찬민 촬영감독은 '한시현' '윤정학' '갑수' 세 인물의 상황을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촬영톤을 달리했다. 또 배정윤 미술감독과 제작팀은 대책팀 사무실부터 종금사, 한국은행 통화정책팀 사무실, 협상장, 갑수의 아파트 그리고 청와대 집무실 등을 구현하기 위해 디테일을 더했다. 특히 문, 잡지, 영화 포스터, 로이터 단말기 등 작은 부분까지 심혈을 기울였다. 여기에 '1987' '강철비' '명량' 등에 참여한 김태성 음악감독은 1970년대 아날로그 신시사이저를 통해 모든 사운드를 만들었고, 채경화 의상감독은 당시의 정장 유행 스타일을 비롯해 강남 오렌지족의 패션과 소품까지 재현해냈다.
개봉: 11월 28일
장영준 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