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부평구, 인천지방경찰청 등 3자간 협업을 통해 내년부터 교통안전시설에 인천만의 디자인을 입힌 교통안전 통합지주 설치를 본격화한다고 28일 밝혔다.
교통안전 통합지주는 교통신호 지주에 가로 조명과 도로 이정표 등을 설치할 수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 그동안 통합 설치는 여러 장점이 있음에도 안전성과 관리주체 문제로 사실상 설치가 어려웠다.
시는 지난 2016년부터 관련 설치 계획을 세워 부평구 갈삼사거리 외 3개소에 시범 설치하고, 통합에 대한 근거 규정을 마련했다.
또 올해는 특허청 디자인 등록에 이어 통합지주의 안전성을 높일 수 있는 신호등(회로이중화)의 특허등록도 마쳤다.
시는 이를 통해 부평구 관내 교통사고 다발지역 중 후방에 설치 된 노후 교통신호철주, 야간 조도확보가 필요한 횡단보도, 주 보행로를 침범한 시설물 등으로 열악한 청천초교 앞 교차로외 7개소에 통합지주를 설치했다.
특히 횡단보도 통합지주에 인천만의 디자인을 부착해 안전(安全)에 미(美)를 입힌 최초의 교통안전 통합지주를 탄생시켰다.
시 관계자는 “보행자 중심의 교통안전과 보행권 확보라는 공통 목적 아래 각기관별 업무 협업을 통해 큰 예산 투입없이 이뤄낸 성과”라며 “가로 조명지주 관련 예산과 신호등 전기요금 절감 효과 등이 기대되는 만큼 내년부터 확대 시행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주영민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