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3월부터 분양권 불법전매 등을 하다 적발되면 전매로 얻은 수익의 3배까지 벌금을 물게 된다.
2일 국회와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런 내용을 골자로 더불어민주당 문희상·조정식·심재권 의원이 각 발의한 주택법 개정안이 최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이 법 개정안에는 불법전매에 대한 처벌을 강화하기로 한 지난해 8·2 부동산 대책의 주요 내용이 포함돼 있다.
불법전매나 청약통장 불법거래 등 공급질서 교란행위가 적발된 경우 그 위반행위로 얻은 이익의 3배에 해당하는 금액이 3천만 원을 초과하는 경우 그 이익의 3배까지 벌금을 물릴 수 있게 됐다. 또한, 불법전매를 한 당사자뿐만 아니라 분양권 불법전매를 알선한 브로커도 강화된 벌금의 적용을 받는다.
현재 주택 불법전매 등에 대한 벌금의 상한은 3천만 원에 불과하다. 불법 행위로 얻을 수 있는 금전적 이득과 비교하면 벌칙금이 현저히 낮은 수준이어서 처벌 실효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국토부 관계자는 “주택법 개정을 통해 투기수요를 차단하고 실수요자를 보호하기 위한 전매 제한의 실효성이 확보되고 주택시장 안정에도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개정된 주택법은 공포 후 3개월 이후 시행, 내년 3월부터 분양시장 등에 적용될 예정이다.
권혁준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