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여섯번째 한미 정상회담을 통해 ‘선(先) 남북 정상회담-후(後) 북미 정상회담’의 방식으로 북핵 협상 교착상태를 풀어나가기로 가닥을 잡았다.
양 정상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서울 방문이 한반도 평화정착을 위한 공동의 노력에 추가적인 모멘텀을 제공할 것이라는 점에 의견을 같이 했다.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는 트럼프 대통령의 강력한 북핵 대화 의지 재확인과 선(先) 서울 남북 정상회담-후(後) 제2차 북미 정상회담으로 이어지는 협상 아웃라인 공감, 한미 간 단일대오 구축, 문 대통령의 중재자 역할론 재확인으로 요약할 수 있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통해 “내년 초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개최하겠다”는 의지를 명확하게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바쁜 G20 정상회의 일정 중에도 ‘북핵 중재자’ 문 대통과의 회담 성사를 특별히 원했었다는 후문이다.
북미 고위급 회담의 연기로 남북미 협상 테이블의 명확한 스케줄이 확정되지 않은 상태였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가 추진해온 ‘연내 서울 남북 정상회담’에 동의하고, ‘내년 초 제2차 북미 정상회담’ 의지를 재확인하면서 프로세스가 명확해졌다.
김 위원장의 연내 답방 가능성은 여전히 유동적이지만, 남북 정상회담을 먼저 해 모멘텀을 마련한 다음, 북미 정상회담을 성사시킨다는 아웃라인을 잡는데 성공했다.
또 남북관계가 북미 협상 보다 지나치게 빨리 나간다는 우려는 국내 보수층 뿐만 아니라, 미국 조야에서도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문 대통령이 특히 군사적 긴장 완화를 통해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우호적 환경 조성에 주도적 역할을 해 온 것을 높이 평가한다”며 논란을 일축시켰다.
문 대통령도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전까지는 기존의 제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동의하며, 협상 과정을 발목잡을 수 있는 ‘잡음’ 발생 가능성을 차단했다. 특히 양 정상은 “굳건한 동맹관계를 바탕으로 긴밀히 공조해 나가자”고 합의했다.
이는 북핵 협상 국면에서 꾸준히 돌파구를 마련해온 문 대통령의 중재를 트럼프 대통령이 다시 한 번 부탁했다는 것에서 큰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