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처너카드 공무원만 사용 한계, 시민 활용도 높이기 위한 실질적 방안 시급

인천시가 역외소비 유출 방지와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해 추진한 인처너카드가 공무원용 카드로 전락해 시민 활용 대책 등 활성화 방안이 시급하다.

2일 시에 따르면 시 공무원과 산하 공기업 지원 등을 대상으로 카드 활용도를 높이는 계획을 세웠다.

시는 3급 이상은 50만원, 4급은 30만원, 5급은 20만원으로 직급별 카드 충전금을 정했다. 또 시는 6급 이하 전 공무원에 대해 3대 공무원 노조와 적극 협의, 자율참여를 추진 중이다.

시는 공무원의 카드 사용을 늘려 인처너카드 정착을 위한 마중물로 삼겠다는 입장이지만 본질적인 해결책이 아니라는 지적이다. 지난 11월 19일 기준으로 인처너카드 사용자는 8천631명에 그쳐, 12월까지 70만명의 사용자를 확보하겠다는 시의 계획에 비해 초라한 성적표이다.

특히 사용자 중 상당수가 시의 참여 독려에 따른 공무원으로 추정 되면서 공무원용 카드로 전락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최근 논란이 된 인처너카드 경품행사의 고액 당첨자 절반이 시 공무원, 공사·공단 직원인 것도 이 때문이다.

실례로 시는 인처너카드 사용자가 할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가맹점 수 모집에 난항을 겪으며 사용자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다.

대한민국의 높은 카드 결제 비율(약 70%)도 인처너카드 정착을 어렵게하는 요인이다. 또 카드사가 제공하는 카드 사용 혜택을 포기하면서 인처너카드를 이용할 유인책도 적은 상황이다.

시 관계자는 “중·고등학생의 사용률을 높이기 위해 시 교육청과 협의, 학생증에 인처너카드 기능을 더하기로 했다”며 “이 밖에도 만석터널과 공공 주차장 요금 할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할인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이승욱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