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은 ‘정부서비스에 인공지능 기술적용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안전부는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국갤럽과 함께 전국에 거주하는 일반국민(만 19~29세) 1천12명을 대상으로 지능형정부 로드맵 수립을 위한 전화 설문조사를 진행(11월1~6일), 결과를 3일 발표했다.
그 결과 조사대상 국민의 85.7%가 인공지능 개념을 인지하고 있으며, 이러한 인공지능 기술적용이 필요한 정부서비스로는 38.0%가 ‘민원신청 및 처리’를 꼽았고 다음으로 ‘행정정보에 대한 안내(22.1%)’, ‘콜센터 등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의응답(21.7%)’ 순으로 집계됐다.
국민은 이와 같은 지능형 정부서비스가 제공되면, ‘24시간 어디서나 서비스 이용 가능(41.8%)’, ‘대기시간 없는 민원처리(26.9%)’, ‘몰라서 받지 못했던 혜택받기(19.6%)’ 등이 좋아질 것으로 기대했다.
인공지능 기술이 먼저 도입돼야 할 서비스 분야에 대해 국민은 ‘의료·복지(30.3%)’를 가장 많이 선택했으며, 다음은 ‘주민생활(20.1%)’, ‘교통·이동(18.4%)’, ‘안전·환경(16%)’ 순이었다.
의료·복지 세부분야에서는 예방접종·건강검진 안내가 22.8%, 병원·약국 정보검색 및 예약이 2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민생활에서는 증명서 발급이 28.2%, 뒤이어 법률상담과 세금정산·납부가 각각 16.9%, 16.8%로 조사됐다.
교통·이동 분야에서는 교통정보 관련 추천·안내가 43.9%로 대중교통 예약(20.3%)에 비해 2배 이상 많았고, 안전·환경 세부분야에서는 재난예방·대피 안내가 31.1%로 가장 높았다.
국민은 궁극적으로 미래의 지능형 정부서비스가 ‘몸이 아프거나 도움이 필요한 사람을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도움을 요청하거나 지켜주는 듬직한 동반자(88.5%)’로 발전하기를 가장 원하며, 이외에도 ‘24시간 편리한 도우미(82.9%)’, ‘내 상황을 알고 처리해주는 똑똑한 개인 비서(75.6%)’의 모습이 되길 바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런 기대감에도 국민은 지능형 정부서비스 이용 시 ‘개인정보 오·남용(36.9%)’부터 ‘부정확한 답변 등 낮은 서비스 품질(33.9%)’, ‘어려운 이용방법(14.9%)’ 등에 대해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는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국민이 희망하는 정부서비스의 우선순위를 정하고, 인공지능 기술적용의 타당성, 실현가능성, 법·제도적 고려사항 등을 범정부 협의체 및 민간전문가, 국민디자인단과 검토하여 단계별 실행방안을 로드맵에 담을 계획이다.
이번 여론조사 표본오차는 ±3.1%p(신뢰수준 95%), 성·연령·지역별 비례배분에 따른 표본에 대한 유ㆍ무선 RDD방식 활용, 구조화된 질문지를 학습한 면접원이 시행했다.
강해인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