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의회가 2019년 인천공원조성 예산으로 359억원을 책정했지만 시민사회단체가 주장한 액수에는 크게 미치지 못해 논란이 예상된다.
인천시의회 산업경제위원회는 인천시가 2019년도 인천공원조성예산으로 편성한 324억원에 대한 심의 중 35억원 증액해 총 359억원을 관련 예산으로 편성했다고 3일 밝혔다.
김희철 의원(민·연수구1)은 “시의 재정 형편 등을 고려해 도롱뇽 공원 조성 등에 들어갈 예산 35억원을 증액했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 예산은 ‘공원조성촉구 인천시민행동’이 주장한 2018년 미편성된 예산과 2019년 필요한 예산을 합한 1천716억원(1천392억원 증액) 편성에 크게 못 미치는 금액이다.
시민행동에 따르면 시는 난개발이 쉽지 않다고 판단하는 공원 부지를 제외하고 최소한 조성해야 할 공원으로 52곳(2.8㎢)을 선정했다. 여기에 드는 예산은 2022년까지 최소 3천727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추산된다.
하지만 시는 2018년에 계획했던 644억원 중 306억원을 관련 예산으로 책정하고 2019년 예산안에는 324억원만 반영하는데 그쳐 시가 공원 조성을 미루고 있다는 문제가 지적됐다.
이에 박주희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은 “35억원은 너무 적은 금액이다. 이 예산이 올해 감액 반영한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라 2022년까지 계속 남아있는 것이기 때문에 이에 대한 계획이 있는지 따져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한편, 인천조성공원 예산은 도시계획시설 상 공원부지로 지정한 뒤 20년이상 미 조성 시 도시공원부지를 해제하는 도시공원일몰제에 대비한 공원조성 예산이다. 인천의 장기미집행공원 면적은 9.38㎢으로 이 중 7.23㎢은 2020년 7월 1일로 나머지 2.15㎢은 2021년 공원부지에서 해제된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