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사측 2019년 상반기까지 자회사 설립 도시철도 2호선 안전요원·경비원 정규직화
市, 향후 ‘무인운전체계’ 정착 이유 보류 안전요원 없애면 ‘불안鐵’ 우려의 목소리
인천교통공사가 자회사 설립을 통한 인천도시철도 2호선 안전요원의 정규직화가 인천시의 반대로 무산될 전망이다.
특히 시는 전동차 무인체계를 앞세워 안전요원 제로화를 요구하고 나서 정부의 일자리 창출 및 정규직화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있다.
4일 교통공사에 따르면 노사전문가협의회를 구성, 250명의 정규직 전환 대상자를 선정 후 2019년 상반기까지 자회사를 설립해 안전요원 94명과 경비원 9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이후 교통공사는 지난 10월 자회사 설립에 대해 시의 승인을 요청했다. 교통공사가 자회사를 만들려면 시의 승인과 시의회의 출자 동의가 필요하다.
하지만, 지난 11월 시는 2020년 말까지 무인운전체계를 정착하고자 단계별 안전요원 감축과 시스템 보완 및 운영계획을 수립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앞으로의 운영 방안을 보완하자며 자회사 설립을 보류했다.
문제는 이 같은 시의 방침이 중앙정부의 방침과 배치된다는 점이다. 앞서 문재인 대통령은 취임 후 첫 외부 일정으로 인천국제공항 비정규직 노동자를 만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약속했다. 이에 따라 고용노동부는 2017년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관련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
또 안전요원을 완전히 없애면 시스템 장애로 전동차가 운행을 중단했을 때 즉각 대응이 어려워 시민 안전이 우려된다는 지적도 있다.
실례로 앞서 인천 2호선은 2016년 7월 30일 개통 이후 크고 작은 장애로 운행이 자주 중단됐다. 특히 단전, 출력 장애, 신호 이상 등 개통 첫날에만 6건의 장애를 일으키며 운행이 중단되는 등 10분 이상 지연 운행된 사례만 개통 첫 달 11건에 달했다.
이에 따라 안전 요원을 없애는 방식이 아닌 이들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마련, 정규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시는 인천 2호선의 처음 기획이 무인체계라 애초에 안전요원이 없는 것이 기본 원칙이라고 설명했다. 안전성 부분에 대해서도 개통 후 2년이 지난 지금 시점에서는 장애발생이 감소해 시스템이 안정됐다며 시민 안전에는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인천 2호선은 처음 설계할 때부터 완전 무인체계로 기획됐다. 서울, 부산 등 무인 철도 체계를 운영 중인 다른 지방자치단체도 안전요원을 모두 없앴다”며 “안전성 부분도 시스템이 많이 안정돼 사실상 안전요원의 역할이 없는 상황이라 오히려 예산 낭비 문제가 지적될 수 있다”고 했다.
이승욱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