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내 민원담당공무원들이 안심하고 일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됐다. 도가 도내 민원담당부서에 비상벨 설치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현재까지 민원부서 91%에 비상벨 설치 작업이 완료됐기 때문이다.
도는 시ㆍ군과 함께 민원실 비상벨 설치를 추진한 결과, 민원부서 741개소 중 677개소(91%)에 비상벨 설치를 완료했다고 6일 밝혔다. 도는 내년 1월까지 나머지 64개소에 대한 비상벨 설치 작업도 완료할 방침이다.
도는 지난 8월 21일 경북 봉화군 한 면사무소에서 발생한 총기 난사 사건으로 민원담당 공무원 2명이 사망하자 관련 부서에 대한 안전관리 대책을 마련하라는 이재명 지사의 지시에 따라 그동안 비상벨 설치를 추진해 왔다. 당초 도는 701개소에 비상벨을 설치할 계획이었으나 세무과, 교통지도과 등 민원인 방문이 빈번한 부서에도 비상벨을 설치해야 한다는 시ㆍ군 요청에 따라 설치대상을 40개소 늘렸다.
이와 관련, 도가 봉화 총기 사건 직후 도와 시ㆍ군, 읍ㆍ면ㆍ동 주민센터 등 701개 민원담당 부서를 대상으로 안전관리 실태를 조사한 결과 비상벨이 설치되지 않은 곳은 567곳(81%)이었으며, 564곳(80%)에는 안전요원이 배치되지 않았다. 비상벨과 안전요원 둘 다 없는 곳은 432개소(61%)인 것으로 나타났다.
도 관계자는 “비상벨은 민원폭력 등 긴급상황 발생 시 초동대처에 꼭 필요한 가장 기본적인 장치”라며 “내년까지 모든 민원부서에 비상벨 설치를 완료해 담당공무원이 안심하고 근무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도내에서는 지난 3월 용인의 한 주민센터에서 50대 민원인이 사회복지 공무원을 흉기로 찔러 중상을 입히는 사건이 발생했다. 또 올해 8월 수원에서는 시청 별관 5층에서 흉기를 자신의 손목에 대고 위협하던 30대 남성이 경찰에 체포되기도 했다.
최현호ㆍ김태희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