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 교육공무직 2천여명 파업… 빵·우유로 점심 때운 학생들

직무수당 등 요구… 76개교 급식 중단

(사진 왼쪽) 강추위가 내린 지난 7일 ‘2018 임금투쟁승리 총파업대회’에 학교 급식 조리 종사원, 영양사, 특수지도사 등 2천여 명(경찰 추산 1천500여 명)이 참여, 경기도교육청에 ‘직무수당 10만 원 지급’, ‘교육청 임금 직접 지급’, ‘유급휴일 확대’ 등 노조 요구안을 수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 지난 7일 민주노총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가 ‘2018 임금투쟁승리 총파업대회’를 연 여파로 일부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되자 학생들이 빵과 음료를 먹고 있다. 이연우•이상문기자
(사진 왼쪽) 강추위가 내린 지난 7일 ‘2018 임금투쟁승리 총파업대회’에 학교 급식 조리 종사원, 영양사, 특수지도사 등 2천여 명(경찰 추산 1천500여 명)이 참여, 경기도교육청에 ‘직무수당 10만 원 지급’, ‘교육청 임금 직접 지급’, ‘유급휴일 확대’ 등 노조 요구안을 수용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사진 오른쪽) 지난 7일 민주노총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가 ‘2018 임금투쟁승리 총파업대회’를 연 여파로 일부 학교에서 급식이 중단되자 학생들이 빵과 음료를 먹고 있다. 이연우•이상문기자

학교에서 근무하는 급식 조리 종사원, 영양사, 특수지도사 등 교내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지난 7일 총파업을 벌이면서 76개 초ㆍ중ㆍ고교의 급식이 중단되는 등 차질이 빚어졌다.

이날 민주노총 전국교육공무직본부 경기지부(이하 경기교육공무직본부)는 경기도교육청 앞에서 ‘2018 임금투쟁승리 총파업대회’를 진행했다. 이 총파업대회에는 도내 교육공무직 2천여 명(경찰 추산 1천500여 명)이 참여했다.

경기교육공무직본부 조합원 중 급식 종사자 비율이 특히 높은 상황에서 이날 총파업대회는 오전 10시30분부터 12시까지 진행, 즉 ‘점심시간’ 동안 ‘파업’에 들어가 그 여파로 도내 일부 학교에선 급식이 중단되는 사태가 벌어졌다.

9일 경기도교육청에 따르면 파업 당일 도내 초등학교 42곳, 중학교 17곳, 고등학교 17곳 등 총 76개 학교가 급식이 중단돼 빵과 우유로 대체(58곳)하거나 도시락(8곳)을 준비하게 했고, 일부 학교(9곳)는 단축 수업만으로 끝내게 됐다.

이에 부실한 급식을 먹은 학생들의 불만이 속출했다.

수원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한 6학년 학생은 “학교에서 갑자기 점심에 밥을 주지 않고 빵과 쿠키를 줘 황당했다”고 말했고 오산 B 중학교에 다니는 3학년 학생 역시 “어른들의 파업으로 학생들의 급식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기교육공무직본부는 이날 총파업대회에서 ▲직무수당 10만 원 지급 ▲교육청 임금 직접 지급 ▲유급휴일 확대 등 노조 요구안을 도교육청이 수용할 것을 촉구하며 도교육청부터 수원 장안공원까지 약 3㎞ 구간을 행진했다.

이연우ㆍ이상문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