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순유입 인구(전입자에서 전출자를 뺀 인구)가 증가하려면 구도심 재생·재건 사업을 통한 도심 간 불균형 해소에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순유입 인구가 늘어날수록 다양한 경제활동에 따른 생산 및 소비가 창출되어 지역경제의 잠재성장률이 높아진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견해다.
한국은행 인천본부가 7일 개최한 ‘인천경제의 혁신성장을 위한 정책과제 세미나’에 참석한 지민웅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인천지역 인구 유출입 변동의 특성과 시사점’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기존에 인천지역 인구 유출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제기된 ‘교통 인프라 발전과 각종 신규택지조성사업’, ‘수도권 지역 베드타운 역할’ 등 인천지역 주요 특성을 검증하고 실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시작됐다. 조사에는 인천과 15개 광역시도의 국내이동통계가 활용됐다.
지 연구위원은 “이번 연구를 통해 인천지역 내 도심 간 균형발전이 순유입 인구 확대에 중요한 요인으로 드러났다”며 “신규택지 공급뿐만 아니라 구도심 재생·재건 사업을 통한 ‘주택시장 안정화’가 최우선적인 정책과제로 보여진다”고 밝혔다.
이어 “신규 택지조성사업 및 구도심 재생 사업 추진 시 유입인구의 교육환경, 의료 및 문화시설 등 정주 여건 확보도 수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양질의 일자리 창출이 동반된 산업구조 고도화 및 고용환경 개선 정책을 추진해 경제활동인구의 유입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전통 제조업과 서비스업 간 융합·촉진, 지역 특화산업의 발굴 및 활성화 등을 통해 서울·경기 지역에 취업과 소비를 의존하는 베드타운 역할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말했다.
이관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