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감소, 중소기업 다소 증가
채권은행은 2018년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통해 190개사(C등급 53개, D등급 137개)를 부실징후기업으로 선정한 결과 전년 대비 9개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8년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에 따르면 대기업은 실적 개선 등에 힘입어 부실징후기업 수가 전년 대비 감소(25개사 → 10개사, △15개사) 했다.
중소기업은 실적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세부평가대상 기업 실적이 더 크게 하락해 전년 대비 부실징후기업 수가 다소 증가(174개사 → 180개사, +6개사)했다.
업종별로는 금속가공(22개사), 기계(20개사), 도매 상품중개(18개사), 부동산·자동차부품(각 14개사) 등 순이다.
철강·조선(각 +5)은 관련 산업의 수요 감소 등으로 인해 전년 대비 증가했고, 도매 상품중개(+3), 고무·플라스틱(+2) 등의 업종도 소폭 증가했다.
기계(△7), 자동차부품(△3), 금속가공(△2) 업종은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2017년부터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2조 3천억 원이며 은행권이 1조 8천억 원으로 대부분(78.3%)을 차지했다.
부실징후기업 여신에 대한 자산건전성 재분류 시, 은행권의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예상액은 약 2천995억 원이며, 은행권의 양호한 손실흡수 여력 등을 감안할 때 재무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금감원은 경영 애로를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위기극복 및 경영정상화를 적극적으로 지원토록 유도하면서 일시적 위기에 빠진 기업의 조속한 경쟁력 회복을 위해 채권은행 등이 유동성지원, 경영애로 상담 및 컨설팅 등을 제공할 계획이다.
서울=민현배기자
로그인 후 이용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