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갑다! 시화호에 멸종위기 혹고니·흰발농게

조력발전소 가동 수질 개선·생태계 안정… 서식 확인
흰발농게는 송산그린시티 개발지역서 발견 대책 필요

혹고니, 흰발농게
혹고니, 흰발농게

시화호에서 국내에서 관찰이 쉽지 않은 1급 멸종위기종 ‘혹고니’와 갯벌 생물로는 보기드문 멸종위기종으로 분류된 ‘흰발농게’가 서식하고 있는 것이 동시에 확인, ‘생명의 호수’로 돌아온 시화호가 생태환경의 보고로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11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 따르면 시화호 남측 갯벌에서 천연기념물이자 1급 멸종위기야생물인 혹고니와 법적보호종인 흰발농게가 서식하고 있는 것이 발견됐다.

현재 시화호에서 10여마리 가까이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된 혹고니는 ‘백조’라는’ 멸칭을 갖고 있는 고니류의 일종으로 국내 전체 550개 가운데 가장 큰 대형종이다. ‘2017년~2018년도 겨울철새 조류 동시 센서스’에서도 전국에서 단 한 마리만 발견될 정도로 보기 드문 조류다.

특히 혹고니는 해양수산부가 시화호 해양환경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실시된 시민모니터 과정에서 지난 10월 성조 5마리에 이어 11월에도 성조 및 유조 2마리가 각각 발견됐다.

이와 함께 지난 2016년 처음으로 발견된 흰발농게는 해양기술원의 시화호해양환경 개선사업 저서생태조사팀이 시화호 남측 갯벌에서 서식을 확인했으며, 최근 서식의 밀도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저서생태조사팀은 정부의 지속적인 시화호 환경 개선 노력을 흰발농게 출현의 이유로 꼽았다.

해수부는 수질 악화에 의한 시화호 환경문제가 부각된 이후 시화호 및 인천연안을 특별관리 해역으로 지정ㆍ관리하고 있으며, 시화호조력발전소 설치 및 가동으로 시화호의 수질과 생태계가 안정됐기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시화호 조력발전소의 가동으로 해수유통량이 증가하면서 수질 개선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호수 내 주변 해역에 넓은 갯벌이 새롭게 만들어져 이전 시화호에서 우점하던 오염지시종이 사라지게 됐다.

이후 자연상태의 갯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종류의 저서동물이 서식하면서 종다양도지수 등의 생태계 안정성을 지표하는 지수가 크게 개선됐다.

해양기술원은 이같은 갯벌생태계의 안정화에 따라 흰발농게의 서식지가 시화호 내부로까지 확대된 것으로 추측된다고 진단했다.

구본주 책임연구원은 “흰발농게 서식지는 송산그린시티 개발예정 지역 내에 속해 있어 보호종 관리 측면에서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시화호 흰발농게의 분포 현황 및 서식지 환경특성 조사가 선행돼야 하며 앞으로 대체 서식지 조성과 같은 관리방안 또한 필요한 실정”이라고 강조했다.

안산=구재원기자

© 경기일보(www.kyeonggi.com),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댓글 댓글 운영규정